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측근으로부터 주요 7개국(G7)에 한국을 정식 회원국으로 포함시켜 G9로 확대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미 대통령 고위 자문인 론 클레인 전 백악관 비서실장은 9일(현지시간) 싱크탱크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사이트에 'G9으로 해야 할 때'란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그는 우선 G7을 G9으로 확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G7 출범 때와는 달라진 지정학적 배경을 꼽았다. G7은 냉전시대인 1975년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이 국제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만든 협의체다. 1997년 러시아가 가입해 G8 체제가 됐다가,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한 후 퇴출되면서 G7이 됐다.
클레인은 그러나 오늘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여파와 중국의 경제·안보 환경에 대한 도전, 최근 중동 분쟁까지 더해 국가 간 협력 관계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며 지금이 G7을 확대할 적기라고 주장했다. 일각에선 러시아·중국 등이 포함된 G20 체제는 복잡한 이해관계 탓에 제 기능을 하기 어려운 만큼 G7을 확대한 G9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는 상황이다.
최근 중국의 도전에 더해 G7의 아시아 회원국이 일본 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을 G9로 추가하는 게 타당하다는 주장도 내놨다. 이 경우 브릭스(BRICS)에 속해 있지 않으면서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규모가 가장 큰 두 나라인 한국과 호주가 적합하다고 했다.
클레인은 "한국의 경제는 G7에 자리할 자격이 있다"며 "한국은 반도체 분야 등에서 혁신적이고, 경제 성장 면에서 글로벌 리더"라고 했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와 북한이 밀착하고, 미·중 긴장 상황을 고려할 때도 한국은 G9 정회원 자격으로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과 인도, 러시아·브라질·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 경제 5개국 정상회의인 브릭스는 회원국을 늘리며 외연 확장에 나서는 모양새다. 내년부터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UAE)·이란·이집트·아르헨티나·에티오피아 등 6개국이 새로 합류한다.
클레인은 이 점을 상기시키며 "자유시장 경제를 추구하는 민주주의 국가들도 세력을 키워야하는데 이제 그 때가 됐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낙연 "민주당, 아무리 봐도 비정상…당대표 바꿔도 여러번 바꿨을 것"
'국민 2만명 모금 제작' 박정희 동상…경북도청 천년숲광장서 제막
박지원 "특검은 '최고 통치권자' 김건희 여사가 결심해야 결정"
TK신공항, 공영개발 사업비 조달 근거 마련…"지방채 한도액 초과 발행 가능"
일반의로 돌아오는 사직 전공의들…의료 정상화 신호 vs 기형적 구조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