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해·극단선택 시도로 응급실 실려간 10대, 10년 새 3배↑

입력 2023-11-08 15:40:41 수정 2023-11-08 15:50:44

질병청 '2022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자해·자살 시도 1.8배↑
추락·낙상 사고 환자 중 60대 이상 비중 10년 전보다 1.8배↑

[그래픽] 자살·자해 시도자 비율. 연합뉴스
[그래픽] 자살·자해 시도자 비율. 연합뉴스

신체를 자해하거나 극단적 선택을 하려다 응급실에 실려온 환자가 최근 10년 새 1.8배 급증했다. 10대에서 이런 사례가 3배 가까이 늘어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에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8일 손상 때문에 응급실을 찾은 환자를 조사한 결과를 담은 '2022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이 조사에 참여한 의료기관은 23곳이며, 조사 대상 손상 환자는 19만3천384명이다.

손상 환자 중 자해·자살 시도자 수는 2012년 5천375명에서 작년 9천813명으로 1.8배 늘었다.

특히 10대와 20대에서 증가세가 가팔랐다. 이 기간 10대는 615명에서 1천786명으로 2.9배, 20대는 1천41명에서 2천744명으로 2.6배 증가했다.

전체 자해·자살 시도자 중 10∼20대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2년 30.8%에서 지난해 46.2%로 15.4%포인트(p)나 늘었다.

자해·자살의 이유로는 2012년에는 '가족·친구와의 갈등'이 27.9%고 가장 많았지만, 작년에는 '정신과적 문제'가 1위로 꼽혔다.

술을 마신 상태에선 의도적 손상(자해, 자살, 폭력, 타살)을 일으킬 위험이 더욱 높았다. 비음주 상태의 환자에게서 의도적 손상은 5.8%에 불과했으나, 음주 상태 환자의 의도적 손상은 33.8%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지난해 추락 및 낙상 사고 환자는 7만1천185명으로 10년 전보다 2.6% 줄었다. 특히 고령화의 영향으로 전체 연령대에서 60대 이상 환자 비율은 10년 전보다 1.8배(23.9%→42.9%) 증가했다.

낙상은 집(45.1%)에서 다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구체적으로는 ▷거실(17.6%) ▷계단(16.2%) ▷화장실(15.3%) 등의 순이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운수사고나 추락 및 낙상 등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원인과 위험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응급실 손상 환자 심층 조사를 통해 손상 발생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안전 수칙 등을 개발·배포해 손상 예방 관리를 통한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