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년 사회조사 결과' 취업자 54.6% "직장을 잃거나 옮겨야 한다는 불안감"
취업 희망 대기업 1위, 공기업·공무원 선호도 감소한 반면 대기업 선호도 상승
취업자 중 절반 이상은 실직이나 이직에 대한 불안감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9세 이상 취업자 54.6%는 평소 가까운 미래에 직장을 잃거나 옮겨야 한다는 불안함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 2021년 같은 조사에 비해 0.7% 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성별로 구분하면 남자(54.9%)가 여자(54.3%)보다 불안함을 느끼는 비중이 더 높았고, 연령별로는 40대(57.1%)가 가장 높았다. 직종별로는 기능노무직, 서비스·판매직에서 불안감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13∼34세 응답자들은 근무하고 싶은 직장으로 대기업(27.4%)을 가장 많이 꼽았고 공기업(18.2%), 국가기관(16.2%)이 뒤를 이었다. 2021년과 비교하면 공기업·국가기관 선호 비율은 각각 21.5%, 21%에서 3∼5%p 하락한 반면, 대기업은 21.6%에서 약 6%p 상승했다.
13세 이상 인구 84.2%가 여성이 직업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답했고 이 가운데 60.2%는 가사·돌봄에 관계없이 계속 취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육아 부담(52.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사회적 편견(14.2%), 불평등한 근로 여건(12.1%) 등이 뒤를 이었다.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는 35.1%로 2년 전(35.0%)보다 0.1%p 상승했다. 직업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수입(40.9%), 안정성(22.1%), 적성·흥미(13.9%) 등 순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계엄 두 달]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는 다른 尹 지지율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이준석 "케네디, 오바마도 40대에 대통령"…사실상 대선 출마 선언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