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 공기 맑아지고 악취민원 줄었다…시설투자·폐쇄 등 강온작전 주효
산단매립장 조기폐쇄, 환경기동반 운영, 고질사업장 체계적 관리 등 효과
경북 성주군 성주일반산업단지 인근 주민들은 요즘 같으면 살 것 같다고 했다. 10년 간의 산단 폐기물매립장 악취 고통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또 벽진면 한 퇴비공장 근처 주민들도 악취가 피부로 느껴질 만큼 줄어든 것 같다고 했고, 가천면 모 양돈농장 주변 사람들도 숨쉬기가 한결 수월하다고 입을 모았다.
최근 성주군 내 공기의 질이 좋아졌다는 주민 반응이 곳곳에서 나온다. 성주군이 최대 민생현안인 악취를 줄이기 위해 발생사업장 폐쇄, 고질민원 사업장 체계적 관리, 24시간 환경기동반 운영, 실시간 악취모니터링 등 전방위로 노력한 때문이란 평가가 나온다.
성주군은 가축사육장 29개소, 폐기물업체 10개소, 대기오염물질배출사업장 11개소, 퇴비공장 3개소 등 53개소를 집중 악취저감 대상으로 정하고 입체적 관리를 하고 있다.

또 악취민원에 즉각적·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인 1조로 24시간 환경대응기동반을 운영 중이며, 연중무휴 민원 신고시 출동해 악취원인을 파악하고, 오염행위 여부를 점검한다. 이 같은 노력은 언제든 신고하면 된다는 인식이 주민 사이에 확산되면서 행정 신뢰성도 높이고 있다.
환경대응기동반 한 대원은 "관리해야 할 사업장이 너무 많아 놀랐다"면서, "매일 사업장을 둘러보니 사업주도 더 신경써 환경관리를 하고, 최근에는 지역의 악취가 크게 줄어 보람과 자부심이 생겼다"고 했다.
과감한 투자도 한 몫 하고 있다. 악취농도를 실시간 측정하고 분석이 가능한 '환경오염감시차량'을 도입해 군민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이동식 악취측정장비 및 시스템을 구축해 악취 농도가 실시간 사업주와 공무원에게 전송되도록 해 악취발생 환경을 바로바로 개선한 것도 주효했다.
가천면 한 양돈농장주는 "악취포집기 설치 후 24시간 측정 수치가 전송되어 와 악취발생에 대한 경각심이 커졌고, 데이터를 통해 작업시간과 미생물 살포시간을 조정하는 등 더 세심하게 농장을 관리하고 있다"면서, "특히 환경감시원과 공무원이 야간에도 사업장에 직접 나와 확인을 하니 농장운영에 더 신경쓰고 있다"고 했다.
특히 영세사업장 악취민원 해결을 위해 지금까지 57개소에 97억원의 대기방지시설 개선사업비를 지원했다. 이로 인해 플라스틱 및 금속가공 공정에서 나오는 매캐한 악취는 상당부분 개선됐다.

하지만 개선 의지가 없거나 부득이 한 경우는 강제 또는 조기 사업장 폐쇄의 강수도 뒀다. 용암면 모 업체의 경우 수년간 행정지도 및 처분을 반복했지만 개선되지 않자 사업장 폐쇄명령을 내렸고, 소송에서도 이겨 주민들에게 상쾌한 공기와 쾌적한 정주여건을 돌려주었다.
산단 폐기물매립장은 2026년까지가 운영기간이지만 사업주 관리 부실 등으로 악취 등 민원이 끊이지 않자 성주군은 조기 폐쇄에 나섰고, 지난 6월 1차 안정화사업까지 완료했다. 매립 폐기물을 5단의 차수층으로 덮고 그 위에 복토까지 이뤄지면서 악취는 획기적으로 감소됐다.
이병환 성주군수는 "주민들에게 제일 많이 받은 전화가 '군수님 제발 냄새 좀 안나게 해주이소'였는데 최근 그 빈도가 많이 줄어드는 것을 보면서 노력한 결과가 이제 나타나는구나 하고 느꼈다"면서 "그러나 악취는 감각공해라 해결을 위한 고삐를 늦출 수 없다. 선진국 사례를 참고해 성주군 실정에 맞는 맞춤형 모델 발굴로 성주를 살기 좋은 고장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