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사봉공 정신 영원히 간직"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44주기 추도식

입력 2023-10-26 13:56:47 수정 2023-10-26 20:26:19

26일 구미 생가서 추모제·추도식 거행…시민 1천여명 참석
파독 광부·간호사 30명도 헌화…李지사 "높은 功 더 인정해주길"
추모제례 이후 추도사 낭독, 박정희 대통령 육성 청취, 추모 공연 이어져

박정희 대통령 서거 44주기를 맞이해 1천여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사)박정희대통령생가보존회 주관으로 박정희 대통령 생가에서 추모제와 추도식이 26일 거행됐다. 이영광 기자
박정희 대통령 서거 44주기를 맞이해 1천여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사)박정희대통령생가보존회 주관으로 박정희 대통령 생가에서 추모제와 추도식이 26일 거행됐다. 이영광 기자

박정희 대통령 서거 44주기를 맞이해 1천여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사)박정희대통령생가보존회 주관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에서 추모제와 추도식이 26일 거행됐다.

추모제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장호 구미시장, 구자근 국회의원, 안주찬 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추모객 1천여 명이 참석했고 김장호 시장이 초헌관, 안주찬 시의회 의장이 아헌관, 박동진 생가보존회 이사장이 종헌관을 맡았다.

독일에서 구미를 방문한 파독 광부·간호사 연합회 회원 30여 명도 이날 행사에 참석해 1964년 12월 서독을 방문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추억을 회상하며 박 전 대통령 영전에 헌화 및 분향했다.

또한 박 전 대통령의 육성이 담긴 '1970년 4월 1일 포항제철 기공식' 연설 청취도 하면서 그리움을 달래고 희망을 다짐하는 시간이 됐다.

박동식 박정희대통령생가보존회 이사장은 추도사에서 "박정희 대통령님께서는 국민과 나라는 부강하게 하셨지만 마지막 돌아가실 때는 낡은 구두, 해진 허리띠, 누렇게 바랜 손목시계만 남겼다. 진정 한평생 조국과 민족을 위해 멸사봉공 하신 증거였다"며 "비록 육신은 떠나가셨지만, 그 정신은 우리 마음속에 영원히 간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대통령님의 애국애민과 경제부흥 정신을 이어받아 대구경북신공항 배후중심도시로 제2낙동강의 기적을 일구어 내고, 편히 모실 수 있는 추모 공간 마련과 미래 교육관 건립에 소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변화를 꾀하는 이 시기에 지역특화발전은 물론 지방자치 분권을 반드시 이뤄내고, 각자의 틀에 갇혀 서로 핏대를 세우고 있는 작금의 현실 또한 경상북도가 바꿔 나가겠다"며 "포용과 개방의 정신으로 개인이 가지는 작은 흠을 평가할 것이 아니라 높은 공을 더 많이 인정해 주는 나라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 첫 시작으로 6·25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 이승만 대통령과 트루먼 대통령 동상을 칠곡에 있는 다부동전적기념관에 모셨고, 쉽지 않은 길이지만 대통령께서 험한 길 위에서 일궈낸 값진 열매를 생각하며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