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육이 누구에게나 보편적 권리가 될 수 있길"

입력 2023-09-20 10:12:07

KT, 장애 학생 찾아가는 맞춤형 코딩 교육 진행

옥산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코딩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KT대구경북광역본부 제공.
옥산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코딩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KT대구경북광역본부 제공.

KT대구경북광역본부는 장애 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높이기 위해 찾아가는 맞춤형 코딩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 교육은 디지털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마련했다.

본부는 오는 11월까지 옥산초와 달성초, 북대구초 등 3개교 특수학급 30명을 대상으로 코딩 교육을 실시한다.

특수학급 담당 교사와 상담을 통해 정서·행동·자폐성 장애 등 학생들의 장애 정도와 정보활용 역량에 대해 분석 후 맞춤형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했다. 학생 특성에 맞춰 흥미와 재미 요소를 더하고, 강의는 KT IT서포터즈가 맡는다.

KT IT서포터즈는 올해로 17년째 맞는 KT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사회적 약자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을 전담하고 있는데 섬마을이나 산간오지 등 열악한 환경에 있는 학생들의 IT교육과 어르신의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도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377만명이 교육에 참여했다.

이번 교육에서는 ▷국어 ▷수학 과목과 연계해 컴퓨터 없이 주변의 사물이나 장난감 등 사물을 이용한 교육인 언플러그드 코딩 교육을 진행한다. 올해 시범 운영 후 점차 대구 전역의 특수학급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KT대구경북광역본부장 안창용 전무는 "장애가 장벽이 되지 않도록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도전을 응원한다"며 "KT는 디지털이 누구에게나 보편적 권리가 되도록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ESG경영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KT는 2021년부터 특수장애학교인 대구영화학교, 대구덕희학교, 대구광명학교의 초·중·고 학생들을 위한 AI(인공지능)·SW(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대구영화학교 교사의 지원으로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수어 영상 교재를 제작, 전국 청각장애 시설에 무료로 배부했다. 올해는 대구광명학교와 함께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점자 코딩 교구를 마련해 교육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