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 내 응급실 이용률, 대구 91%-경북 53%

입력 2023-09-03 18:59:14

의료 접근성 격차 하늘과 땅 차이
상급 종합병원도 마찬가지…대구 180분 내 9명 이용할 때 경북선 6명 정도만 가능

119구급대원들이 환자를 이송하는 모습. 자료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대구소방안전본부 제공
119구급대원들이 환자를 이송하는 모습. 자료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대구소방안전본부 제공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도시와 지방의 의료 접근성 격차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난달 발표한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2021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별 불균형이 심각했다.

기준시간이 60분인 응급실의 전국 평균 의료이용률은 72.8%를 기록했다. 대구(91.1%), 서울(90.3%), 광주(89.2%), 대전(87.8%), 인천(86.7%), 부산(85.0%) 등 대도시 이용률은 전국 평균치를 웃돈 반면 전남(51.7%), 경북(53.4%), 강원(55.8%), 충남(59.5%), 경남(61.1%) 등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대구에서는 1시간 내에 10명 중 9명 정도가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지만, 경북에서는 5명 정도만 가능하다는 의미다.

다른 의료이용률 역시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도시와 지방 간 차이가 컸다. 기준시간이 30분인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이용률은 서울 89.9%, 대구 85.2%, 인천 80.9% 등으로 전남 32.5%, 경북 40.8%, 강원 44.0% 등과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기준시간이 90분인 권역응급의료센터 의료이용률 또한 서울 96.3%, 인천 95.6%, 경기 92.4% 등 수도권에 비해 충남 50.2%, 강원 60.1%, 전남 60.4% 등 비수도권이 취약했다. 대구는 90.6%, 경북은 65.2%였다.

'최종치료' 역할을 하는 상급종합병원의 기준시간(180분) 내 의료이용률도 서울 99.0%, 인천 98.3%, 경기 98.5% 등으로 수도권이 압도적이었다. 대구는 90.1%를 기록했고, 경북은 59.5%에 불과했다.

기준시간이 90분인 신생아집중치료실(NICU) 의료이용률 경우 경북이 42.7%로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전국 최고는 서울(98.4%)이었고, 대구는 96.1%였다.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의료 이용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지표다. 해당 의료 서비스를 일정 시간 내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통상 상급종합병원 180분, 종합병원은 90분. 응급실 60분, 지역응급의료센터 30분 등을 기준시간으로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