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최근 경제 동향'서 밝혀
무역수지 2개월 연속 '플러스'…물가 상승률 2년여 만에 최저
올해 내내 이어진 한국 경제의 둔화 흐름이 일부 완화됐다는 정부의 진단이 나왔다. 수출 물량 회복과 경제 심리·고용 개선 등으로 하방 위험이 줄어들면서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인다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는 11일 '최근 경제 동향(그린북)' 8월호에서 "월별 변동성은 있겠지만 경기둔화 흐름이 일부 완화되는 모습"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2월 그린북에서 처음 한국경제를 둔화 국면으로 판단한 이후 계속 '경기 둔화 지속' 진단을 내리다 6개월 만에 처음으로 '경기 둔화 완화'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승한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계절적인 요인으로 변동성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완만한 개선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수출 회복과 경제 심리·고용 개선 흐름을 근거로 들었다.
지난달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16.5% 감소한 503억3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21억4천만달러로 작년보다 16.5% 줄었다.
다만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수입도 25.4%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16억3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6월 16개월 만에 흑자 전환한 이후 2개월 연속 '플러스'다.
특히 정부는 반도체를 비롯한 주요 품목의 수출 물량 회복 흐름에 주목했다. 3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가 계속되던 수출 물량은 6월 들어 7.5%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도체의 수출 물량은 5월 8.1%, 6월 21.6% 각각 증가했다.
이승한 과장은 "반도체 수출 물량은 7월에도 증가가 예상되고 수출 금액 기준으로도 8월 1∼10일 실적이 올해 들어 가장 좋다"며 "전체적인 수출 금액도 10월에는 '플러스'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6월 경상수지도 58억7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 항목별로는 상품수지가 3개월 연속 흑자(39억8천만달러)였다. 소득수지도 해외법인 배당유입 증가 등으로 흑자 폭이 확대됐다.
정부는 여행수지 등 서비스수지 적자가 커지고 있지만, 무역 흑자 확대 등에 힘입어 경상수지 흑자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1만1천명 늘며 증가세를 이어갔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작년 동월보다 2.3% 상승해 2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은 작년 12월 5.0%에서 올해 1월 5.2%로 소폭 상승한 뒤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 6월 2.7% 등으로 둔화세가 지속하고 있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IT 업황 개선 기대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경제활동 재개 효과에 대한 기대감과 제약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며 "통화 긴축 및 러-우크라 전쟁 영향, 원자재가격 변동성 등 불확실성도 지속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폭염·호우에 따른 물가 불안 및 피해에 신속히 대응하는 등 민생안정에 역점을 두면서 하반기 경제활력 보완하고, 체질 개선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