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 동안 은행권 횡령금액 871억원 달해…회수율 7% 불과

입력 2023-08-03 11:17:00 수정 2023-08-03 11:40:46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필요"

5대 시중은행 로고.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 로고.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연합뉴스
유의동 국민의힘 국회의원
유의동 국민의힘 국회의원

고객의 돈을 관리하는 은행종사자들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동안 지방은행을 제외한 시중은행, 특수은행, 인터넷은행 14곳 중 10곳에서 횡령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우리은행이 732억2천만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사고 건수와 징계인원에서는 하나은행이 17건, 101명으로 가장 많았다.

회수율은 은행마다 차이가 있으나 전체 사고금액 대비 회수금액은 7.04%로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의동 의원은 "매년 반복되고, 회수도 되지 않는 횡령사고는 소비자들의 피해로 직결될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은행업에 국민의 신뢰가 멀어지지 않도록, 금융당국의 횡령사고에 대한 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