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수요 파악해 아프리카의 쌀 생산 및 유통 가치사슬 고도화할 것"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인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 사업 추진을 위해 'K-라이스벨트 추진단(TF)'을 구성해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K-라이스벨트는 한국의 벼 종자와 농업 기술을 아프리카 국가에 전수해 식량난을 자립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7년부터 연간 벼 종자를 1만톤(t) 생산하고 농가에 보급해 약 3천만 명에게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대상 국가는 서아프리카의 세네갈·감비아·기니·기니비사우·가나와 중앙아프리카의 카메룬, 동아프리카의 우간다·케냐 등 8개국이다.
추진단에는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국립종자원 및 한국농어촌공사의 업무 관계자가 참여해 생산 기반 조성과 종자 생산, 농가보급 및 유통, 국제기구 및 대외협력 등의 역할을 맡는다.
농업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돼 왔으며 특히 K-라이스벨트는 국제사회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앞서 한국은 지난 5월 G7 정상회의에서 국제 식량위기 해결을 위해 K-라이스벨트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지난달에는 아프리카 8개국의 장관급 대표를 서울에 초청해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 및 아프리카개발은행(AfDB)도 K-라이스벨트 대한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한국이 짧은 시간에 쌀 자급을 달성한 경험은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로, 특히 아프리카에서는 한국의 농업 기술을 배우기 위한 열정이 대단하다"며 "추진단 발족을 통해 현지의 여건과 수요를 파악하고 아프리카의 쌀 생산 및 유통 가치사슬 전반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