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코인 10개 중 9개 가격 급등락 관측…시세조종 취약"

입력 2023-07-09 21:26:21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미 규제당국에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을 다시 신청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한 4일 오전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의 모습. 연합뉴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미 규제당국에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을 다시 신청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한 4일 오전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의 모습. 연합뉴스

국내 업체가 발행하거나 국내에서 주로 거래되는 가상자산 10개 중 9개 가량이 유독 가격이 급등락하는 '펌프앤덤프' 양상이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른바 '김치코인'으로 불리는 가상자산의 경우 단독상장 종목이 많은 데다 국내 거래 비중이 높아 시세조종의 타깃이 되기 쉽다는 해석이 나온다.

9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백연주 연구위원은 '한국 가상자산시장과 펌프앤덤프 현상에 대한 고찰'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상자산시장에서는 가격이 급등한 뒤에 급락하는 패턴을 보이는 펌프앤덤프 패턴을 보이는 시세조종 양상이 자주 관측된다. SNS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가격을 상승시킨 뒤 작전세력이 자산을 매도해 가격이 급락하는 식이다. 특히 유동성이 낮고 시가총액이 작은 가상자산일수록 타깃이 되기 쉽다.

한국 가산자산시장은 2022년 하반기 기준 전체 종목 수 대비 단독상장 가상자산 종목 비중이 62.2%에 달할 정도로 높다. 거래 비중도 국내 시장에 집중된 경우가 적잖다. 시장 상황상 가격 급등락을 일으키기 쉬운 환경이다.

백 연구위원이 2021년 10월 김치코인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총 1만6천560건의 시간별 가격, 거래량 중 최대 약 4.7%가 펌프앤덤프 사례로 분류됐다. 아울러 김치코인 23개 중 21개(91.3%)에서 펌프앤덤프로 추정되는 양상이 관찰됐다.

백 연구위원은 "한국가상자산 시장은 SNS를 이용해 가상자산 투자자 심리를 조작하기 용이한 데다 입법 미비로 불공정 거래를 규율하기 어렵다"며 "거래소의 상장 심사 절차가 불투명하고 투자자와 프로젝트 업체 간 정보 비대칭이 존재해 시세조종 등 불공정 거래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