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경제동향, 바닥 도달 반등 가능성 시사…"서비스업도 증가세 유지"
국책연구원이 최근 한국 경제에 대해 경기 저점을 지나고 있다고 판단했다.
주력 업종인 반도체 수출 등 제조업 부진 상황이 일부 개선하고 서비스업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월 경제동향'을 발표하면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 부진이 일부 완화되며 경기 저점을 지나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시사했다.
6월 경제동향에서 '경기 저점을 시사하는 지표가 늘고 있다'고 밝힌 이후 이달 들어 경기가 저점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KDI는 지난 1월 경기 둔화 국면에 시작됐다고 판단한 뒤 5월까지 경기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경기가 저점에 도달했다는 진단은 경제가 바닥에 도달한 뒤 반등할 수 있다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같은 판단은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도체 등 제조업의 부진 완화다.
반도체 수출물량지수는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3월에 0.7%, 4월 1.3% 감소했다가 5월에 8.1% 반등했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 대비 6.0% 감소해 전월 15.2% 하락한 것보다 감소폭이 줄었다. 자동차 수출은 58.3% 증가하는 등 강세였다.
지난달 무역수지도 16개월 만에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부진 완화 등으로 5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0.9%에서 72.9%로 소폭 개선됐다. 이에 따라 재고율도 130.1%에서 123.3%로 줄었다.
5월 서비스업 생산은 1년 전보다 2.0% 증가했다. 앞서 전월에도 2.9% 늘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도 100(기준치)보다 높은 100.7을 기록했다. 기준치를 넘은 결과는 13개월 만이다. 기준치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긍정적으로 해석한다.
KDI는 "서비스업도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주요국의 통화 긴축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의 경기회복이 지연될 가능성 등으로 경기 불확실성은 상존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