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갈등, 공급망 위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복합 위기 탓"
국내 대기업 중국 법인이 수년째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류 제한령 등 중국 정부가 한국기업에 대한 압박을 본격화한 2016년부터 삼성전자는 물론 현대차·기아 등이 주춤하면서 6년 만에 중국 법인 매출이 13%가량 줄었다. 특히 주력 업종인 배터리와 반도체를 제외하면 매출 감소 규모는 약 40%에 이른다.
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중국 생산 법인 실적을 공시한 113곳의 지난해 합산 매출액은 총 11조42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6년 127조7천292억원보다 13.1% 감소했다.
이 가운데 배터리와 반도체 관련 국내 기업 매출을 빼면 총 매출액은 지난해 73조4천485억원으로 지난 2016년(117조2천300억원)보다 37.3%나 축소됐다.
CEO스코어는 "한한령으로 국내 기업에 대한 제재가 본격화한 이후 미중 무역 갈등, 공급망 위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복합 위기 상황이 지속되면서 국내 주요 기업의 대(對)중국 사업이 후퇴를 거듭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부품 업종의 매출은 36조329억원이 줄어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생활용품과 건자재도 각각 2천610억원, 532억원이 감소했다. 철강도 매출 355억원이 줄었다.
이에 반해 IT전기전자 업종의 매출은 12조4천824억원 늘었고, 석유화학은 매출이 6조290억원 상승했다. 또 식음료와 조선·기계·설비가 각각 6천809억원, 3천399억원 증가했다.
한편, 국내 대기업의 중국 생산 법인은 6년간 30곳이 팔렸고, 16곳이 문을 닫는 등 총 46곳이 줄었다. 2016년 기준 매각 법인 총 매출액은 6조5천945억원이었으며, 청산 법인 13조1천98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