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 축제의 복병 바가지

입력 2023-07-02 20:49:25

서명수 객원논설위원(슈퍼차이나연구소 대표)
서명수 객원논설위원(슈퍼차이나연구소 대표)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자 축제의 계절이 돌아왔다. 전국 어디서나 축제가 벌어지면서 '보복 여행'에 나선 국민들을 유혹한다. 그러나 축제에 갈 때마다 불편하다. 축제는 눈·귀뿐만 아니라 지역 대표 음식이나 길거리 음식을 사 먹으면서 입으로도 즐긴다. '영양 산나물 축제'에 간 연예인들이 옛날 과자 1.5㎏에 7만 원을 내는 것을 TV를 통해 확인하고서는 어이가 없었다. 바가지라는 비난이 폭주하자 영양군이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는 등 진화에 나섰지만 외부 상인의 행위라며 발뺌하는 바람에 더 큰 공분을 사기도 했다.

말라비틀어진 회 몇 점 올린 생선회 한 접시에 6만 원, 춘천 막국수 축제에선 감자전 3장이 2만5천 원. 제주에선 갈치 한 토막에 2만4천 원, 외국인들이 다시 몰려드는 명동의 노점도 마찬가지다. 꼬치 하나에 8천 원, 탕후루 7천 원, 붕어빵 4천 원의 가격에 한국을 찾은 외국인들마저 혀를 내두르고 있다. '비싸면 안 사면 될 것 아니냐'는 식이니 바가지 상혼이 도를 넘었다.

영양 바가지 과자의 배후에 축제 브로커가 있다는 보도(본지 6월 23일 보도)도 나왔다. 바가지 상인이 축제 브로커에게 야시장 자릿세로 180만 원을 낸 것으로 드러났다. 공식 자릿세의 9배다. 신용카드를 받지 않으면서 세금을 제대로 내지 않는 것이 관행이 되다시피 한 축제 길거리 노점이나 터무니없이 비싼 음식물 값은 정부와 지자체의 관리와 관심 부재 탓이 크다.

먼 길 달려 지역 축제에 가서 '울며 겨자 먹는' 심정으로 바가지 먹방도 즐기자며 자위하곤 하지만 지자체의 자세 전환만으로도 축제 바가지를 잡을 수 있다. 바가지 상혼은 축제를 개최한 지자체의 의도를 배신하고, 지역 이미지를 추락시킬 수 있어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지자체가 야시장 입점 업체를 직접 선정하고 축제 기간 내내 관리 지침을 위배하면 즉각 철거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내리면 축제 바가지는 발붙일 수 없다. 노점 상인들도 한탕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스마트폰만 열면 소비자들이 실시간 감시하고 고발할 수 있는 세상이다. 7월에도 봉화 은어 축제, 영덕 문화재 야행, 경주 봉황대 뮤직페스티벌 등이 예정돼 있다.

서명수 객원논설위원(슈퍼차이나연구소 대표) didero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