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 중국 공장의 반도체 첨단장비 반입 허용 기간을 연장할 것이라는 소식이 알려지자, 국내 업계의 긍정적인 시선이 감지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이 반도체 첨단장비의 대(對)중국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고 있지만, 한국 기업에 대한 수출 통제 유예를 당분간 연장할 것이란 방침이 확인됐다.
지난해 10월 미국 상무부는 자국 기업이 중국 반도체 생산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도록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 통제를 발표했다. ▷핀펫(FinFET) 기술 등을 사용한 로직칩(16nm 내지 14nm 이하) ▷18nm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플래시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장비·기술을 중국 기업에 판매할 경우 허가를 받도록 강제했다.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은 수출 통제를 1년 동안 유예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미국이 유예기간 만료 후 어떻게 조치할 지 관심이 쏠린 상태였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당분간이지만, 한국 기업에 대한 수출 통제 유예 연장 방침을 밝히면서 다소 불확실성을 해소한 국내 반도체 업계가 반기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방침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확실히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불확실성이 해소되어 가는 과정으로 본다"고 말했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현재 중국에서 가동하는 메모리 생산 라인이 지속가능하려면 기술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며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미국의 조치가 이어지면 불확실성이 많이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중국에서 생산 활동하는 한국 기업에 대해 한시적 유예 조치 대신 별도의 장비 반입 기준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 인텔로부터 인수한 다롄 낸드 공장을 운영 중이다.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에서 낸드 생산량의 40%를 생산 중이다.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 생산량의 각각 40%와 20%를 우시 및 다롄 공장에서 각각 만들고 있다.
두 기업은 중국 공장 가동에 필요한 물품 일부를 미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