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2일 의총 열고 국회 상임위원장 인선 정리 나서

입력 2023-06-11 17:25:02

당직과 국회직 겸임 금지, 전·현직 지도부 및 전직 장관 제외 등 새 기준 마련
정청래 최고위원 반발 및 행안위원장 선출 여부 관심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최고위원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최고위원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상임위원장 선출을 두고 내홍 조짐을 보이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12일 의원총회에서 선출 기준을 확정하고 인선 문제를 정리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은 이날 의총에서 원내지도부가 초재선의 반발을 수용해 마련한 자당 몫 상임위원장 선출 원칙을 공개, 의견을 수렴한 뒤 확정지을 예정이다. 이후 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하고 13~14일 본회의에서 선출한다는 계획이다.

원내지도부가 새롭게 마련한 기준은 당직과 국회직 겸임 금지, 전·현직 지도부 및 전직 장관 제외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겸직 금지 등을 두고 일부 의원의 반발 등 격론이 예상된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달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자당 몫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환경노동위·행정안전위·보건복지위·교육위·예산결산특별위 등 총 6개 상임위 위원장을 선출하려 했다.

환노위·교육위·행안위·복지위 등 4개 위원장에 김경협·박홍근·정청래·한정애 의원이 각각 내정됐지만, 본회의 전 의총에서 원내대표나 장관 출신, 지도부 소속 의원이 상임위원장을 맡는 것을 두고 '기득권 나눠 먹기'라는 내부 반발이 일었다.

여기에다 국민의힘도 불법 토지거래 혐의로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김경협 의원 내정 철회를 요구하면서 본회의 표결 직전 인선이 보류됐다.

최대 관심사는 정청래 최고위원의 행안위원장 반발 및 선출 여부다. 행안위원장 내정자였던 정 최고위원은 앞선 선출 보류 때도 이의를 제기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김진표 국회의장과 박광온 원내대표를 강하게 비판하며 불만을 표한 바 있다. 국회의장을 상대로 권한쟁의 심판 청구와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검토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원내지도부가 새롭게 마련한 기준을 적용할 경우 당직을 맡고 있는 정 최고위원은 상임위원장을 맡을 수 없어 순순히 받아들이진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