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사출 확인 안된 도요샛 3호는 미교신…"편대비행은 문제 없어"
차세대위성 2호 2년간 지구 하루 15바퀴 돌며 임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를 타고 고도 550㎞에 도달한 실용 인공위성 8기 중 5기가 우주를 순항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세종청사에서 한 브리핑에서 "전날 발사 후 단방향 교신에 이어 이날 원격명령을 포함한 쌍방향 이행하면서 누리호 3차 발사는 발사체 이륙과 비행, 위성 사출, 주탑재 위성 작동까지 사실상 완벽한 진행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은 실용위성 자체 발사에 실제로 성공한 국가가 됐다.
누리호 주탑재 위성이었던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이날 새벽에 우주에서 지상국과 쌍방향 교신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등 모두 아홉 차례 양방향 교신이 이뤄졌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 24분 누리호에 실려 발사된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목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데 이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 전날 오후 7시 7분에 남극 세종기지에서 최초로 위성신호 수신과 오후 7시 58분에 대전 지상국을 통한 초기 교신이 이루어진 데 이어 이날 새벽 대전 및 해외 지상국을 통해 7회 추가 교신에 성공했다.
이날 교신에서 위성의 원격검침 정보를 수신했고 위성 자세의 정상적 태양 지향 상태 여부를 점검했다. 또 위성의 통신계 송수신 기능, 명령 및 데이터처리계 기능, 전력계 태양전지판의 전력 생성 기능 등을 점검해 모두 정상임을 확인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앞으로 7일간 위성 상태를 계속 점검하면서 영상레이더 안테나를 전개하고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자세를 안정화한다. 이후 3개월간 초기 운영을 거쳐 탑재체 점검과 임무 수행을 준비하고, 2년간 태양동기궤도에서 지구를 하루에 약 15바퀴 돌면서 임무를 수행한다.
부탑재 위성인 큐브 위성들은 아직 일부만 교신에 성공했다. 한국천문연구원 큐브위성 도요샛은 4기 중 2기만 교신했고, 기업 큐브위성 3기 중 2기만 위성신호 수신이 확인됐다.
기업 큐브위성 중 루미르의 LUMIR-T1은 전날 오후 7시 53분, 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는 오후 11시 7분 신호를 확인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도요샛은 위성별 순차적 교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1호기(가람)는 전날 8시 3분 위성 신호를 수신했고 2호기(나래)는 이날 오전 6시 40분경 위성 신호 수신과 양방향 교신을 수행했다.
다만 4호기(라온)와 전날 사출 여부가 제대로 확인되지 않은 3호기(다솔)는 아직 위성 신호를 받지 못해 지속해 교신을 시도하기로 했다. 도요샛은 대전 지상국에서 하루 2~3회, 해외 지상국에서 3회 정도 교신이 가능하다.
이재진 천문연 우주과학본부장은 "도요샛 1호는 전날 비컨 신호만 확인하려고 했는데 데이터까지 다 수신해 확인했다. 오늘(26일) 교신 시도에서는 시간이 짧아 송신 명령이 제대로 확인됐는지 시간이 걸릴 것 같다"며 "2호는 위성이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고 있다"고 했다.
도요샛은 4기가 편대 비행을 하도록 개발된 위성이기 때문에 3, 4호기가 확인되지 않으면 편대 비행 임무 가능 여부도 지적됐다.
이 본부장은 "위성이 여러 대 있으면 그만큼 기능을 잘할 수 있는 건 사실이지만 편대비행 자체만 놓고 보면 2기만 되더라도 이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며 "큐브위성으로 편대비행을 최초 시도하는 것으로 향후 큐브위성을 이용한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