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는 정어리 집단폐사 재발 방지에 적극 대처할 것이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대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현하고 시기도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에 시는 상황 발생 시 즉시 대처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적으로 관내 정치망어업 6개소에 유입되는 정어리를 최대한 포획하도록 협조 요청했으며 현재도 포획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어업인 등 모니터링 강화, 유관기관 비상연락 체계 구축, 어업지도선을 이용한 연안해역 예찰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양환경 정화선 수질검사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또 시는 해양수산부에서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 일환으로 멸치권현망 혼획을 허용함에 따라, 정어리가 살아 있을 때 최대한 포획해 상품화(건제품)하는 등 어업인 소득 창출 및 해양환경 오염 예방에 최선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집단폐사가 발생할 경우도 대비했다. 해상수거분은 음식물자원화시설, 해안수거분(이물질함유)은 자원회수시설에 반입해 소각 처리하고, 비상시를 대비해 민간 폐기물 처리시설도 확보해 뒀다. 걸림돌로 제기됐던 '성산 소각장 정기보수 가동 중단에 따른 소각난' 우려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공공시설에서 우선 반입·처리하고 보조적으로 민간시설을 이용한다'는 대원칙도 세웠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도 진해만에 빈산소수괴 관측시스템을 이달 중 7개소에서 9개소(마산항 및 마산합포구 구산면 추가)로 늘려 확대 조사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