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산책방 자원봉사자 모집 공고에…열정페이 논란

입력 2023-05-07 18:08:45

별도 임금 없이 굿즈와 점심식사, 간식 제공
文측 "자원봉사 요청 빗발쳐 인원수 제한하려 공고 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7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책방에서 오픈 기념 강연(정지아 작가와의 만남)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7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책방에서 오픈 기념 강연(정지아 작가와의 만남)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운영하는 '평산책방'이 낸 자원봉사자 모집 공고와 관련해 '열정페이' 논란이 일고 있다. 수익 사업에 별도의 임금을 제공하지 않는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지적에 대해 문 전 대통령 측은 "자원봉사 뜻을 밝힌 이들이 많아 인원 제한을 위해 공고를 낸 것"이라고 해명했다.

7일 평산책방 등에 따르면 책방은 지난 5일 SNS로 자원봉사자 모집을 알렸다. '인원은 50명으로 선착순으로 마감해 9일 발표할 예정이며, 선발된 자원봉사자는 이달부터 12월까지 8개월 동안 활동한다. 평산책방 관련 물건(굿즈)와 점심식사, 간식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대해 온라인 상에서는 갑론을박이 오갔다. 특히 '수익 사업에 무슨 자원봉사가 필요한가', '왜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주지 않고 열정페이로 땜질하려고 하나' 등 비판이 나왔다.

일부 언론에서도 문 전 대통령이 2015년 당 대표 시절 "열정페이라는 이름으로 노동력을 착취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발언한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집권 당시에도 소득주도성장을 내세우며 초반 2년 동안 최저임금을 각각 16.4%, 10.9% 인상한 바 있다.

문 전 대통령 측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평산책방 관계자는 7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책방에 자원봉사를 하겠다는 요청이 빗발쳤다. 너무 요청이 많아 인원수를 제한하려고 공고를 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책방 직원은 모두 정규직으로 채용했고, 열정페이 논란은 성립조차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해명에도 문 전 대통령 측이 사안을 너무 가볍게 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동규 동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페이스북에 해당 공고문을 캡처한 뒤 "도대체 누가 버젓이 이런 발상을 하고, 이런 공고를 버젓이 내는가? 자원봉사를 빙자한 노동착취라는 비판을 어찌 감당할 텐가? 더구나 하루 8시간 종일 '노동'을 하지 않는 경우 점심도 주지 않는단다. 그저 한숨이 나온다"는 글을 올렸다.

한편 평산책방은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평산마을에 지난달 26일 문을 열었다. 문 전 대통령이 지난해 말 자신의 집 근처에 있는 단독주택을 8억5천만원에 사들인 뒤 리모델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