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조 당기순이익' 5대 시중은행, 사회공헌금액 비율은 최근 5년 중 최저

입력 2023-04-17 11:18:58 수정 2023-04-17 20:24:52

황운하 의원 17일 밝혀…당기순이익 전년보다 37% 급증, 사회공헌비율은 6.0% 그쳐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중구)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중구)

국내 5대 시중은행(농협‧하나‧신한‧우리‧국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 합계가 13조원을 돌파했지만 사회공헌지원금액 비율은 당기순이익 대비 6.0% 수준으로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중구)이 금융감독원과 개별 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5대 시중은행 당기순이익은 13조586억원으로 전년 9조5천191억원 대비 37%가량 증가했다.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사회공헌지원금 합계는 7천821억원으로 전년 당기순이익 합계의 6.0% 규모를 차지했다. 2018년 8.2%, 2019년 9.2%, 2020년 9.5%, 2021년 8.1%였던 점을 고려하면 가장 낮은 수치다.

은행연합회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의 사회공헌 사업은 서민금융, 지역사회‧공익, 학술‧교육, 메세나‧체육, 환경, 글로벌 등 6개 분야로 구분된다. 서민금융 분야는 서민주택금융재단 지원, 지역신용보증재단 지원, 은행 청년창업재단 지원 등을 주 대상으로 한다.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서민금융지원실적 합계는 3천375억원 규모로 전체 사회공헌지원금액의 43.2% 수준이다. 2018년 3천428억원(49.2%), 2019년 4천266억원(51.9%), 2020년 4천359억원(54.7%), 2021년 3천466억원(45.1%)였던 점과 비교하면 규모나 비율 모두 최소치다.

황운하 의원은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예외적 호황을 누리고 있는 은행권이 역대급 성과급 논란으로 사회적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이어 사회공헌과 서민금융지원 사업비 투입에 미온적인 것은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저버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자 부담, 물가 상승 등 국민이 민생고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은행권은 냉혹한 국민 현실을 직시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