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두달 연속 적자…2월 -5.2억달러

입력 2023-04-07 08:17:45 수정 2023-04-07 09:00:46

10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제 교역의 최종 성적표인 경상수지가 한 달 만에 또 적자로 돌아섰다. 한국은행 10일 자료를 보면 지난 1월 경상수지는 45억 2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2억 2천만 달러 적자였다가 12월엔 흑자로 돌아섰지만, 흑자를 이어가지 못하고 다시 적자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10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제 교역의 최종 성적표인 경상수지가 한 달 만에 또 적자로 돌아섰다. 한국은행 10일 자료를 보면 지난 1월 경상수지는 45억 2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2억 2천만 달러 적자였다가 12월엔 흑자로 돌아섰지만, 흑자를 이어가지 못하고 다시 적자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지난 2월 경상수지가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부진 영향으로 상품수지 적자도 5개월째 이어졌고, 해외여행 증가 등으로 서비스수지 적자 또한 20억달러를 웃돌았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2월 경상수지는 5억2천만달러(약 6천861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월(58억7천만달러 흑자)보다 63억8천만달러나 줄어든 수치다. 2개월째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적자 폭은 사상 최대였던 지난 1월(42억1천만달러)보다 36억9천만달러 감소했다.

항복별 수지 가운데 상품수지는 13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5개월 연속 적자에다 1년 전(43억5천만달러 흑자)과 비교하면 수지가 56억5천만달러나 급감했다.

수출도 줄었다. 505억2천만달러였던 2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6.3%(33억8천만달러) 줄었다.

수출이 위축에는 글로벌 경기 둔화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반도체(통관 기준 -41.5%), 화학공업 제품(-9.8%), 철강 제품(-9.2%)이 부진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5.0%), 중국(-24.3%), 일본(-5.4%)으로의 수출이 위축됐다.

수입은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올해 2월 수입은 518억2천만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4.6%(22억7천만달러) 증가한 수치다.

서비스수지 또한 20억3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2월(9천만달러)에는 흑자를 기록했지만 1년 사이 수지가 21억2천만달러나 줄어 적자로 돌아섰다.

코로나19 관련 방역이 완화되면서 여행수지 적자도 크게 늘었다. 1년 동안 4억3천만달러에서 10억1천만달러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