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북구 매천동 농수산물도매시장(일명 매천시장) 이전지로 달성군 하빈면 대평지구가 선정됐다. 시는 2031년까지 4천여억 원을 들여 하빈면 대평리 667 일대 27만8천㎡ 부지에 경매와 가공, 선별 등 첨단 도매 유통시설을 갖춘 도매시장을 건립한다.
1988년 개장한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은 거래 규모가 연간 1조 1천억 원으로 35년간 지역 농수산물 유통의 중추적 역할을 해 왔다. 시설 노후화에 따른 화재, 물류 및 주차 공간 부족, 교통 혼잡, 악취 등 문제로 유통 종사자들과 인근 주민들의 이전 요구가 컸다. 지역 숙원 사업이 해결 실마리를 찾았다는 점에서 환영할 일이다. 이전보다는 현 부지에서 시설 개선 및 확장 등을 희망해 온 사람들에게는 실망스러운 결과일 수 있으나, 당면 문제들을 해결하고 미래 농수축산물 유통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차원에서 대승적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확장 이전으로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은 첨단 도매시장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됐다. 넓은 부지에 온라인 거래소 개설, 전자 송품장, 빅데이터 유통정보시스템 등 스마트 물류시설을 구축하고, 집배송장 및 전처리 시설(세척·선별·가공, 소분·소포장 등) 등 고도화 시설을 구축해 운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축산물 유통센터를 설치해 농수축산물 종합도매시장으로 확대 발전도 꾀할 수 있게 됐다.
과제도 많다. 도매시장 확장 이전으로 유통 종사자 인력 수급, 종사자 출퇴근, 이용객 접근성 등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해 시장이 빨리 안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전 예정지의 투기 방지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투기 방지를 위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 따른 지역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 문제를 최소화할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현 매천동 부지를 어떻게 가꾸고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크다. 도매시장 이전이 대구 농수축산물 도매와 유통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고, 낙후된 현 부지가 대구의 새로운 중심지로 거듭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트럼프 빼준 의자에 앉지 않은 李대통령…"경상도 예의"
홍준표, 유튜브 '홍카콜라' 재개…"세상 사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