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인건설 '부실 대출'로 논란을 빚은 대구 12개 새마을금고가 중앙회와 법적 다툼을 일단락했다. 이들 금고의 연체율이 3%를 넘길 정도로 건전성과 수익성이 나빠진 탓에 중앙회와 대립보다 관계 개선을 통한 자금 지원을 받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천4동, 대현, 신천, 남구희망 등 대구 소재 12개 금고가 지난 연말 중앙회를 상대로 낸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철회했다.
지난해 중앙회는 이들 12개 금고에 '대구시 중구 하서동 다인로얄팰리스 동성로 오피스텔 사업장과 경남 양산 물금 2차 사업장에 집행한 집단대출을 회수의문 이하로 분류하고 대손충당금을 55% 이상 적립할 것'을 요구했다. 사업장 공사가 중단되고 장기간 준공이 지연돼 채권에 심각한 위험이 생겼다는 이유였다.
그러자 이들 금고는 지난해 12월 29일 '그렇게 할 수 없다'며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일제히 소를 제기했다.
지역 금고 측은 "지역 금고와 중앙회 사이의 소송전이 외부에 나쁜 인식을 심어 주는 데다 건물을 완공해 수분양자들이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그만큼 이들 금고의 재무 상황이 어렵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부실 여신으로 건전성이 악화하면서 중앙회 지원이 절실한 상황인 만큼 '내홍' 보다는 '봉합'으로 사태를 돌파하려는 것 아니겠느냐는 관측이다. 중앙회가 각 금고의 자금지원 권한을 갖고 있어서다.
대구 금고가 두 현장에 내어준 집단대출액이 2천800억원 수준이다. 이를 감안하면 이들 금고가 적립해야 하는 대손충당금 규모는 1천500억원 수준에 달한다. 금고 평균 자산 규모가 1천억~2천억원 수준인데, 금고별 자산의 10% 이상인 100억~130억원을 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하는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금고 입장에서는 예대율(예금 잔액에 대한 대출금 잔액 비율) 규제에 맞춰 추가 대출을 하려면 기존보다 예수금도 더 많이 확보해야 한다. 금고 경영상에 어려움이 커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달 9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발표에 따르면 다인건설 부실대출 12개 대구 지역금고의 연체율은 3.22%로 대구 소재 금고 평균(1.66%)보다 현격하게 높다. 이는 100억원을 대출했다면 3개월 이상 연체된 돈이 3억원이 넘는다는 뜻이다. 그만큼 고정이하여신(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위험 신호가 켜지면서 2·3금융권의 연체율에도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이 같은 소식에 신규 수신 영업도 힘든데 연체율 관리 때문에 올해 목표 매출액 규모를 절반 넘게 줄여야 하는 터라 금고들이 중앙회에 먼저 손을 내민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