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여파로 국내 증시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은행주들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14일 전날보다 20.24P(0.84%↓) 내린 2390.36로 출발한 코스피는 오전 10시 기준 코스피 2356.28(▼54.32, -2.25%)까지 하락했다. 약세로 출발한 코스닥도 같은 시간 기준 764.37(▼24.52, -3.11%)까지 떨어졌다.
SVB사태 영향으로 국내 은행주가 크게 흔들리는 모습이다.
오전 10시 기준 KB금융은 4만8천700원으로 전날보다 -3.08% 하락했고, 신한지주는 -1.66%인 3만5천400원, 하나금융지주는 -3.28%인 4만1천300원, 우리금융지주는 -2.54%인 1만1천1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미국 뉴욕증시에서도 은행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JP모건체이스(-1.80%), 뱅크오브아메리카(-5.81%), 웰스파고(-7.13%), 씨티그룹(-7.45%) 등 대형 은행들의 주가는 모두 하락했다.
지역 중소은행의 폭락세는 더 컸다.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의 주가는 61.83% 폭락했다.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은 주가가 61% 이상 폭락하며 하락세를 주도했다. 웰스파고(-7.13%), 씨티그룹(-7.45%) 등의 대형 은행주도 하락했다.
다만 정부는 SVB 사태가 국내에 주는 영향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국내 금융기관은 자산 부채 구조가 실리콘밸리은행과 상이하고 유동성이 양호해 일시적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기초체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 은행 등 주요 금융기관 및 4대 공적연금, 한국투자공사(KIC), 우정사업본부 등 투자기관 등의 관련 은행들에 대한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도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현 단계에서의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