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선택] 이승열 MFR 대표 "험한 일 대신할 로봇 개발"

입력 2023-02-26 16:02:47 수정 2023-02-26 19:49:49

"20년 연구원 노하우 녹여 더이상 중대재해로 고통받지 않는 대한민국 만들 것"
근로자 위한 기술 개발 앞장…다양한 산업 투입 모델 제작
"건축물 해체·재난 구조 등 중대재해 고통 없애고 싶어"

26일 오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 연구실에서 만난 이승열 MFR 대표가 반도체공장 클린룸 바닥마감재 설치로봇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통원 기자. tong@imaeil.com
26일 오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 연구실에서 만난 이승열 MFR 대표가 반도체공장 클린룸 바닥마감재 설치로봇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통원 기자. tong@imaeil.com

"20년 간 쌓아온 로봇 기술력이 현장에서 도구 역할을 톡톡히 해낼 수 있도록 로봇 실용화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26일 오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한 연구실에 들어서자 만년필을 든 이승열 MFR 대표가 눈에 띄었다. 그는 주말이 되면 이곳에 나와 수기로 기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메모한다. 이 대표는 "기술은 인간의 삶을 편안하게 만들어줄 도구이며, 도구가 목표가 돼선 안 된다는 것을 깨달은 뒤 나아갈 방향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가 이렇게 노력하는 것은 '사명감' 때문이다. 넉넉지 않은 학창 시절을 보낸 그는 "연구원 생활을 하며 받은 급여는 국민들의 낸 혈세"라며 "개인적 삶의 풍요도 중요하겠지만, 연구한 것을 산업에 접목해 국민들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감사함을 전할 수 있는 연구원들의 참된 생활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연구원 생활을 하며 산학 협력 과제를 수행할 때마다 위험이 도사리는 산업 현장의 업무 환경 개선에 대한 고민을 해왔다. 이 대표는 "현장 근로자들의 어려움을 들여다보고 개선해 기술 개발하는 것이 연구원의 의무라고 생각해왔다"며 "아무도 하지 못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보다 누구나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했다. 특히 로봇만이 가진 특성을 활용한 특화된 공법 개발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같은 생각으로 연구원 생활을 해오던 이 대표는 지난 2021년 6월 MFR을 창업했다. MFR은 건설·제조·농업·어업 분야 등 다양한 산업군에 투입할 모듈형 전문서비스로봇을 제작하고 있다.

이 대표는 대학원 시절부터 삼성디지털시티의 디지털연구소,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외장재 시공 로봇 투입 프로젝트 참여하는 등 삼성과의 인연이 깊다. 그는 삼성물산에서 개발한 로봇에 대한 유지 보수와 고도화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그는 또 건설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콘크리트 벽 검사·유지보수 로봇과 원격제어 건축물 해체 로봇, 무인불도저, 재난구조로봇, 철골 내화재 뿜칠·볼팅로봇 등을 개발해 현장에 투입하고 있다. 조만간 지하차도 내화보드 설치 로봇도 도로 건설 현장에 투입할 예정이다.

26일 이승열 MFR 대표(왼쪽 세번째)와 직원들이 개발 중인 지하차도 내화보드 설치 로봇 앞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통원 기자. tong@imaeil.com
26일 이승열 MFR 대표(왼쪽 세번째)와 직원들이 개발 중인 지하차도 내화보드 설치 로봇 앞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통원 기자. tong@imaeil.com

이 대표는 "생산성과 안전성,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선 고객 중심의 작업 환경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필수 요소"라며 "중대재해로 더이상 고통받지 않는 산업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