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 인터뷰…'제 뿌리는 영주' TK 현안 애착
"낙동강 수계 수질개선과 대구 취수장 이전…대구 시민 숙원 사업"
"중앙정부, 지자체에 권한 대폭 이양…대기업 유치 권한 갖게 할 것"
"대통령 당무 개입 느낌 국민에게 주는 것…시기적으로 매우 부적절"
"차기 총선 승부처 수도권…국민의힘도 수도권 지도부 구성해야"
오는 3월 8일 열리는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번에 선출되는 국민의힘 당 대표는 내년 4월 총선을 승리로 이끌어 현재의 여소야대의 국면을 타개해야 하는 막중한 책무를 이행해야 한다. 현재 컷오프를 통해 결선에 오른 김기현, 안철수, 천하람, 황교안 4명의 후보가 '총선 승리 적임자'를 자처하며 선거운동을 벌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9개 지역 대표언론사 모임인 한국지방신문협회는 이들에 대한 공동 인터뷰를 진행했다. 후보들은 총선 전략과 이른바 '윤심(尹心)' 논란, 지역 발전 방안 등에 대해 가감 없이 속내를 밝혔다. 매일신문, 강원일보, 경남신문, 경인일보, 광주일보, 대전일보, 부산일보, 전북일보, 제주일보 등은 지난 19일부터 진행했던 후보 인터뷰를 순차적으로 게재한다.
"대구경북신공항특별법은 모처럼 여야 정치권이 합의한 사안이므로 처리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저의 뿌리가 경북 영주인만큼 적극적으로 나설 것입니다."
안철수 후보는 지난 19일 진행된 공동 인터뷰에서 대구경북(TK)의 최대 숙원과제인 TK 신공항 특별법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계류 중인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힘을 보태겠다는 의중을 밝혔다.
아울러 안 후보는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영남권 일대를 돌면서 당원들을 만났고 이후 지지율이 10% 이상 올랐다면서 TK에서 얻은 에너지를 발판으로 앞으로 더욱 소통 행보를 강화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특히 안 후보는 보수정당의 텃밭인 TK 현안에 대한 강한 애착을 보이기도 했다.
안 후보는 "낙동강 수계 수질개선과 대구 취수장 이전은 맑은 물 상수원 확보와 친환경 도시 구축을 바라는 대구 시민의 숙원사업"이라며 "낙동강 수계 상류 댐 식수 하이웨이, 영주-안동-임하-영천댐·운문댐 연결 및 금호강 정비, 100리(43km) 물길 조성, 수변개발 등을 통해 획기적으로 수질을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지역균형발전정책과 관련해선 "중앙정부의 권한을 대폭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재정분권과 법령 개정으로 각 지자체가 각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대기업 및 글로벌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권한을 갖도록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구체적으로 광역경제권을 통한 메가시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교통 인프라와 행정 통합의 로드맵을 추진하고 일자리 이외에도, 교육, 문화, 의료의 3대 핵심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해서 정주인구 확대로 종합적 지역균형 발전 미래비전을 실현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 '尹心'과 국민의힘 전당대회…총선 선거 전략
안 후보는 최근 불거진 이른바 '윤심 논란'과 '대통령의 당무개입 논란'에 대해 소신을 밝혔다.
안 후보는 "전당대회 중에 대통령이 당무에 개입하는 것 아니냐는 느낌을 국민에게 주는 것은 시기적으로 매우 부적절하다"며 "대통령을 전당대회에 끌어들이는 게 과연 내년 총선 승리에 도움이 되겠나"라고 비판했다.
무엇보다 차기 총선 승부처로 수도권을 꼽으며 지도부 전원을 수도권에서 뽑은 민주당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도 수도권 민심을 잘 알고 수도권 선거 경험이 있는 지도부를 구성해서 맞대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 "여당, 압도적 다수당 돼야…중대선거구제 시범도입 우선"
안 후보는 최근 화두인 선거제도 개혁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다. 그는 "내년 총선에서는 현행 제도에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준에서 선거를 치러서 여당이 압도적 다수당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권교체에 따른 국민들이 바라는 개혁을 실행에 옮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중대선거구제든 비례대표 확대든 다당제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라면 지금보다는 정치가 좋아질 것"이라며 "대통령께서 언급하신 중대선거구제는 전국적으로 전면적으로 도입하기보다는, 우선 실험적으로 도시 일부 지역에 시험 도입을 해보고, 확대하는 점진적인 방식도 가능하다 본다"고 언급했다.
◆ "이재명 대표 비리 의혹 사법부에 맡겨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등 정국 현안에 대해선 "문제는 민주당에서 이재명 수호를 위해 방탄 국회를 만들고 있다는 데 있다"며 "이 대표의 비리 의혹은 입법부의 관할이 아니므로, 철저하게 사법부에 맡겨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취재단=매일신문 강영훈 기자 gree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