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있는 시민일수록 '반대'…'반대'가 '찬성' 2배 웃돌아
4월 시범시행 앞두고 공론화 절실
직장·자영업 비중 높은 40, 50대 반대 심해
대구시청 야간 민원실 "도움 된다" 67.5% 차지
오는 4월 대구시내 각 구·군 민원실에 공무원 점심시간 휴무제 시범 도입이 검토 중인 가운데 대구시민 10명 중 6명은 이 제도에 대해 아직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심시간 휴무제를 알고 있는 시민들은 제도 도입에 반대하는 비율이 찬성보다 두 배를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행 예상 날짜까지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충분한 시민 공론화 과정이 절실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매일신문은 지난 8~10일 여론조사업체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대구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대구 공무원 점심시간 휴무제'에 대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시행을 검토 중인 공무원 점심시간 휴무제에 대해 모른다는 응답이 59.8%를 차지했다.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40.2%에 그쳤다.
'알고 있다'는 응답은 40대가 51.9%로 가장 높은 반면, 50대와 60대 이상은 각각 37.7%와 29.8%에 그쳐 고령층에 대한 제도 홍보가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도에 대해 아는 시민일수록 반대 비율이 높은 점도 특징이다. 민원실 공무원 점심시간 휴무제에 대해 알고 있는 시민 중 63.8%가 반대 의사를 표시해 찬성율(30.8%)을 두 배 이상 웃돌았다.
연령별로는 직장이나 생업으로 민원실 방문이 어려운 40, 50대의 반대가 컸다. 특히 40대의 반대율이 69.5%에 달했고, 50대 반대율은 66.6%로 뒤를 이었다.

반면 대구시가 시행 중인 야간 민원실은 민원인들에게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매주 화, 목요일에는 오후 10시까지 야간 민원실을 운영하고 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야간민원실이 도움이 된다는 의견은 전체 응답자 중 67.5%를 차지했다. 도움이 안된다는 응답은 24.3%에 그쳤다.
특히 점심시간 휴무제에 반대하는 이들 중 74.4%가 야간 민원실 운영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한편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해 11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점심시간에 교대근무를 해서라도 민원 공백을 없애야지 점심시간에 민원실을 폐쇄한다는 것은 공직사회 기본 도리에 관한 문제"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를 두고 전국공무원노조 대구본부가 규탄 집회를 여는 등 공직 사회 내부에서 극심한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번 조사는 ARS 여론조사(무선 66.0%, 유선 34.0% 병행 방식)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7.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표본은 성·연령·지역별 할당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선정했다. 남성은 489명(48.9%), 여성 511명(51.1%)이며, 연령별로는 18~20대 16.8%, 30대 13.7%, 40대 18.1%, 50대 20.5%, 60대 이상이 30.9%다.
권역별로는 중구 3.4%, 동구 14.6%, 서구 7.2%, 남구 6.3%, 북구 18.2%, 수성구 17.0%, 달서구 22.7%, 달성군 10.8% 등이다. 지난해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