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정치권 일각서 TK신공항·가덕도신공항 경합 우려 목소리 커
TK 정·관계 "TK신공항은 대구경북, 충청·강원 일부…가덕도신공항은 부울경, 전남·광주로 수요 분리"
대구시 시행하는 '기부대양여'가 사업비 대부분…"오히려 국비 부담 덜어줘"
대구경북(TK) 신공항과 가덕도 신공항이 동반성장해 인천공항 일극체계에 대응하고 지역 균형발전의 촉매제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TK·가덕도 신공항을 경합 관계로 놓고 '제로섬 싸움을 벌일 것'이라는 갇힌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TK 정·관계에서는 2개 공항의 여객·화물 등 수요 권역이 분리돼 있고 기부대양여, 국가재정 등 서로 다른 재원 구조를 가진 만큼 '상호 경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30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TK신공항 건설은 민·군 공항을 동시에 이전하는 사업으로 군 공항은 기부대양여, 민간공항은 국가재정 투입 방식으로 추진된다.
대구시가 사업을 시행할 기부대양여 방식은 총 11조4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가재정이 투입될 민간공항은 사업비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1조4천억원~3조원가량의 예산이 필요할 전망이다.
10조원이 훌쩍 넘는 대규모 사업(민·군 통합 이전)처럼 보이지만 실제 사업 진행에 따른 연차별 국비 확보액은 누적 3조원 미만 규모(민간공항 부문)에 그친다는 얘기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추산해 내놓은 가덕도 신공항 건설의 총사업비 13조7천억원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오히려 TK신공항의 경우 기부대양여로 짓는 군 공항 활주로를 민간공항이 일부 활용하는 덕에 활주로(2.7㎞) 건설 국비 약 2조원을 절감하는 효과를 낸다.
부산·울산·경남 정치권 일각에서 'TK·가덕도 신공항 동시 추진 시 국비 경쟁이 벌어질 것이'라고 우려하지만 기우라는 게 지역 정·관계 반응이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TK신공항 특별법에 기부대양여 사업 부족분에 대한 국비 지원 내용이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공항 건설이 완료되고 나서 판단할 문제로 건설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논란이 될 부분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여객·화물 등 수요 권역도 서로 다르다. 대구시 관계자는 "TK신공항은 대구경북, 충청 및 강원권 일원을 권역으로 산정해 부·울·경과 전남·광주 일원의 가덕도 신공항과 겹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TK신공항에 가덕도 신공항보다 우월한 지위를 부여하려 한다는 지적도 오해다. 특별법에 인천공항과 같은 분류인 중추공항으로 추진한다고 했으나 '중남부권'으로 한정해 인천·대구·가덕도·무안 등과 동등한 4극체제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얘기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TK와 부·울·경이 신공항을 고리로 상호 경쟁 관계로 보고 갈등을 벌여서는 곤란하다. 이미 특별법을 품고 있는 부·울·경이 TK신공항 특별법에 과도한 딴지걸기를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TK와 부·울·경은 각자의 공항을 조속히, 제대로 만들어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수도권 일극체계에 갇혀 있는 국내 현실을 타파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