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가 공무원연금의 재정계산을 2년 앞당겨 올해 시작하는 등 개혁에 선제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김승호 인사처장은 27일 윤석열 대통령에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처장은 전날 사전 브리핑에서 "윤석열 정부 3대 개혁과제 중 하나인 연금개혁에 맞춰 당초 2025년으로 계획돼 있던 공무원연금 재정계산을 앞당겨 올해 조기 착수할 것"이라며 "인사처는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에 참가하는 등 책임감 있는 자세로 과학적 연구와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개혁 논의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재정계산은 향후 40년 이상의 연금 재정을 추계하는 작업으로, 지급 시기 및 지급액 등을 조정하는 기초자료가 된다.
김 처장은 "작년 8월 연금 전문가 20여 명이 포함된 내부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으며 지속해서 제도 개선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국민 눈높이나 공감대 차원에서 공직사회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이 외에도 3명 이상 다자녀를 양육하는 공무원에게는 인사상 우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다자녀 부모는 승진심사 때 우대하고, 자녀 양육에 필요하다면 필수 보직 기간을 다 채우지 않더라도 전보를 허용하는 등 조치가 도입된다.
둘째 자녀부터는 육아 휴직 기간을 모두 호봉 승급 기간에 포함해주는 조치도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임대주택 입주자를 선정할 때 다자녀 공무원 가점을 높이고, 일정 물량을 우선 배정하며, 대출 신청권도 우선 부여한다는 계획이다.
다태아 출산 시 배우자 출산 휴가는 기존 10일에서 15일로 늘리고 120일 내 2회 분할 사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김 처장은 "정부는 '모범 고용주'로서 새로운 제도를 시행하면 민간에 강요할 수는 없지만, 공기업에는 권장할 수 있다"며 "적극적 조치를 공직사회가 먼저 단행함으로써 사회 전반으로의 공감대 확산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공무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과 보상은 강화하는 정책도 내놨다.
인사처는 먼저 참혹한 사건·사고 등 재난 현장의 수습을 담당하는 현장 공무원을 보호하고자 '심리안정 휴가'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또 3년 이상 최상위 성과 등급을 받은 공무원에게 주는 보너스 격의 '장기성과가산금'을 만들 예정이다.
직무의 중요도와 난도에 따라 임금을 더 주는 '중요직무급' 대상은 기존 총정원의 최대 15%에서 20%로 확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