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군위 땅값 4.36% 상승, 서울 성동구에 이어 2위 기록
22년 연간 지가 2.73% 상승… 토지거래량 33.0% 감소
지난해 경북 군위의 땅값 상승률이 4.36%로 서울 성동구에 이어 전국 시·군·구 가운데 2위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대구의 전체 토지 거래량은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지난해 전국 지가가 2.73% 상승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땅값 상승률은 전년(4.17%) 대비 1.44%포인트(p) 하락했다. 땅값 상승 폭은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4.78%에서 3.03%로, 지방은 3.17%에서 2.24%로 모두 전년 대비 상승폭이 줄었다.
시·도별로 세종(3.25%), 경기(3.11%), 서울(3.06%), 부산(2.75%) 등 4곳이 전국 평균(2.73%)보다 땅값이 높게 상승했다.
대구의 경우 2.55%, 경북은 1.7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구의 땅값 상승률은 전년(4.38%) 대비 1.83%p, 경북 역시 전년(2.29%) 대비 0.54%p 하락한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경북 군위의 땅값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군위(4.36%)는 대구경북신공항 개발 기대감으로 전국에서 서울 성동(4.53%)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군위 뒤를 이어 경기 하남(4.23%), 경북 울릉(4.07%), 경기 광명(4.03%) 등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울릉 역시 울릉공항 건설사업 추진에 따라 인근 상업·주거용지에 대한 토지수요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도 급감했다.
지난해 거래량은 220만9천필지(1천795.4㎢)로 2021년 대비 33.0%(108만7천필지) 감소했다.
이는 연간 기준으로 2012년(204만5천필지) 이후 10년 만에 최저치다.
특히 지역별로 보면 대구의 전체토지 거래량이 전년 대비 54.6% 감소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줄었다.
이어 서울(-43.5%), 세종(-42.5%)을 비롯해 경북(-25.7%) 등 17개 시·도 모두 감소했다.
전국적으로 지난해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던 토지 거래마저 얼어붙고 지가 상승폭도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