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 조사…꽃눈 분화율 '홍로' 64%, '후지' 56%로 낮아
농가마다 동서남북 방향에서 성인 눈높이의 열매가지 눈 50~100개 채취 확인
올해 사과 꽃눈 분화율이 저조한 것으로 조사돼 봄철 가지치기 때 유의해야 한다.
농촌진흥청은 사과 주 생산지의 꽃눈 분화율을 조사한 결과, 평년보다 분화율이 낮고 관측지점 사이의 편차가 커 가지치기 전 반드시 과수원의 꽃눈 분화율을 확인해야 한다고 25일 밝혔다.
꽃눈 분화율은 사과나무 눈 가운데 열매가 될 수 있는 눈을 말하며 꽃눈이 형성된 비율로 가지치기 작업량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꽃눈 분화율이 낮을 때 가지치기를 많이 하면 좋은 위치에 열매가 달리지 않고 열매양이 줄어 수량 확보가 어려워진다. 반면, 꽃눈 분화율이 높을 때 가지치기를 적게 하면 초기 자라는(생장) 데 많은 양분을 소모하게 되고 열매를 솎는 데 많은 노동력이 든다.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가 2~6일 경북 군위·영주·청송과 경남 거창, 전북 장수, 충북 충주의 사과 주 생산지 6곳의 9농가를 대상으로 꽃눈 분화율을 조사한 결과, '홍로'의 꽃눈 분화율은 64%로 평년보다 4% 낮았고, '후지'의 꽃눈 분화율은 56%로 평년보다 5.2% 낮게 나타났다. 2013~2022년 10년간 꽃눈 분화율의 평균은 홍로 68%와 후지 61%였다.
사과연구소는 과수원마다 '홍로'는 낮게는 40%에서 높게는 81%, '후지'는 낮게는 34%에서 높게는 80%까지 편차가 크게 나타난 만큼 농가에서는 반드시 가지치기 전 꽃눈 분화율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꽃눈 분화율은 생장이 중간 정도인 나무를 선택한 뒤, 동서남북 방향에서 성인 눈높이에 있는 열매가지(결과모지) 눈을 50∼100개 정도 채취해 확인한다. 가지에 부착된 눈을 떼 내 날카로운 칼로 세로로 이등분한 후 확대경을 이용해 꽃눈인지 잎눈인지를 보면 된다.
농가에서 꽃눈 분화율이 60% 이하라면 열매가지를 많이 남기고, 60∼65% 정도일 때는 평년처럼 가지치기한다. 65% 이상이면 평년보다 가지치기를 많이 해 불필요한 꽃눈을 제거하면 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이동혁 소장은 "한해 사과 과수원 관리의 첫걸음인 겨울 가지치기를 제대로 해야만 품질 좋은 사과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며 "반드시 과수원 꽃눈 분화율을 확인한 뒤 가지치기에 나서 달라"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