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산불' 11개월째 이재민 생활…이달희 "불편 해결 최우선, 한파 취약 보완도"

입력 2023-01-18 16:00:08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 이재민 266명 사는 임시주택서 한파 안전점검, 불편사항 달래
이어 ‘원전안전관리 및 원전산업 수출전략 간담회’ 참석해 "원전 안전 대비에 만전" 당부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설 연휴를 앞둔 18일 울진 죽변면과 북면에 위치한 산불피해 임시주거용 조립주택 이재민을 찾아 아픔을 위로하고 위문품을 전달했다. 경북도 제공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설 연휴를 앞둔 18일 울진 죽변면과 북면에 위치한 산불피해 임시주거용 조립주택 이재민을 찾아 아픔을 위로하고 위문품을 전달했다. 경북도 제공

지난해 초 발생한 경북 울진 산불로 주민 266명이 11개월 째 임시 조립주택 이재민 생활을 이어가고 있어 경북도가 위로와 안전점검에 나섰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설 연휴를 앞둔 18일 울진 죽변면과 북면에 위치한 산불피해 임시주거용 조립주택 이재민을 찾아 아픔을 위로하고 위문품을 전달했다.

이 부지사는 현장에서 동절기 조립주택 안전점검 대책상황을 점검하고, 이재민의 어려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듣는 등 따뜻한 위로를 전했다.

그는 남은 겨울 한파에 대비하고자 제설 자재 및 상수도 동파예방 사항을 점검하고, 화재를 예방하고자 울진소방서와 협조해 화재안전점검 및 화재예방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지난해 3월 4일부터 열흘 간 지속된 역대 최장 산불로 울진 328가구 467명의 주택 피해 이재민이 발생했다. 그 중 181가구 290명이 188동의 임시조립주택에 입주했다. 최근까지 14가구가 복귀하면서 현재는 174동의 임시조립주택에 266명이 살고 있다.

임시조립주택은 재난으로 주택이 절반 이상 파손돼 집을 새로 지어야 할 때 국비와 광역단체 재해구고기금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시설은 24㎡(3x8m) 규모로 내부에 붙박이장, 화장실, 싱크대,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을 갖췄다.

경북도는 그간 이재민의 불편사항 해결과 안전 유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수시로 임시조립주택 현장점검을 하고, 전담 공무원제를 통해 정기 모니터링도 해왔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18일 오후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18일 오후 '원전안전관리 및 원전산업 수출전략 간담회'에서 울진군과 울진소방서, 한수원 한울원자력본부 관계자가 모인 가운데 원전 안전관리 현황을 공유했다. 경북도 제공

이 부지사는 이날 오후 '원전안전관리 및 원전산업 수출전략 간담회'에서 울진군과 울진소방서, 한수원 한울원자력본부 관계자 등과 함께 원전 안전관리 현황을 공유했다.

지난해 울진 산불이 한울원자력본부 주변까지 번졌을 당시 소방당국과 한울본부가 힘을 합쳐 원전 주변에 방화선을 구축, 원전 안전을 확보한 바 있다.

이 부지사는 앞으로도 일어날 수 있는 재난에 대비해 원전안전 대비태세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참석자들은 이어 원전산업 육성 및 수출전략을 논의했다. 운영허가 심사 중인 신한울2호기의 빠른 심사완료와 상업운전을 위한 방안을 살피고, 건설 재개를 위해 사전절차를 밟고 있는 신한울3·4호기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의견도 나눴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산업 생태계 복구와 수출을 통해 원전 최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북도는 원자력 미래 먹거리인 SMR과 원자력수소 시장 선점을 목표로 울진에 '원자력활용 수소생산 실증단지 및 국가산단'을 조성할 계획이다. 경주에도 SMR 특화 국가산단을 유치할 방침이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임시조립주택에 사는 이재민을 현장에서 만나보니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며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 원전 또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주민 수용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