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보다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실질임금 뒷걸음질

입력 2023-01-16 09:59:32

2년간 최저임금 6.6% 상승,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7%

2일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3년 시간당 최저임금 안내문이 붙어 있다. 주 40시간 근로 기준으로 월 201만580원이다. 연합뉴스
2일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3년 시간당 최저임금 안내문이 붙어 있다. 주 40시간 근로 기준으로 월 201만580원이다. 연합뉴스

최근 2년간 소비자물가 상승 폭이 최저임금 상승률을 뛰어 넘으면서 실질 최저임금이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및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12월을 100으로 했을 때 지난해 9월 한국의 최저임금은 106.6으로 집계됐다. 1년 9개월 동안 6.6% 상승한 셈이다.

실질 최저임금은 지난해 9월 기준 98.2로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최저임금보다 물가가 더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이다.

한국의 최저임금은 2020년 8천590원에서 2021년 8천720원으로 1.5% 올랐고, 지난해에는 9천160원으로 5.05% 상승했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1년 2.5%, 지난해 5.1% 등 2년간 7.7%가량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최근 발간한 '인플레이션 상승기 최저임금' 보고서에서 "2021년 1월~2022년 9월에 거의 모든 OECD 회원국이 최저임금을 올렸지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이는 결국 실질 최저임금 하락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올해는 실질임금 상승률이 반등할 거란 전망도 나온다. 올해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9천620원으로 전년 대비 5% 올랐고, 한국은행은 지난해 11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6%로 예상한 바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누적된 비용 상승 압력이 공공요금과 가공식품 가격 등에 반영되면서 1∼2월 중에는 5% 내외를 나타내다가 이후 점차 낮아질 것"이라며 "연간으로는 11월 전망치 3.6%에 대체로 부합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