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완화 시점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한다. 일각에서는 설 연휴 이전에 실내 마스크 의무가 풀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왔지만 중국 리스크와 명절 대이동 등을 감안하면 설 연휴 이후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17일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자문위) 회의를 열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관련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방역당국은 실내 마스크 의무 완화를 위한 조건으로 유행 규모와 중증, 사망 환자 규모, 병상 여유, 개량백신 접종률 등 4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삼겠다고 했다. 방역당국은 이중 2가지 이상을 충족할 경우 실내 마스크 의무 완화를 검토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13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코로나19 유행 통계에 따르면 이 중 3개가 기준을 충족했다. 이날 기준 주간 하루 평균 확진자는 4만5천392명으로, 2주 전(6만5천972명)과 비교해 큰 폭으로 줄었다. 637명(2일 기준)까지 늘었던 입원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도 511명으로 줄었다. 중환자 치료 병상도 12일 오후 5시 기준 3개 중 2개(65.3%)꼴로 비어 있어 의료 역량도 충분한 상황이다.
하지만 방역당국 내에선 당장 설 연휴 전부터 실내 마스크 의무를 해제하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연휴 전에 실내 마스크 완화를 '발표'할 수는 있겠지만, 그렇다 해도 완화된 지침을 적용하는 시점은 연휴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가장 큰 이유는 여전히 남아 있는 '중국 리스크'다. 질병청 관계자는 "중국 내 유행이 춘제(중국 설) 연휴 이후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서도 설 연휴 기간 가족 방문 등 이동이 많을 것이란 점 역시 고려됐다. 마스크 규정이 완화되더라도 위험도가 낮은 시설부터 적용되고, 병원과 대중교통 등에 대해선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숨은 감염자도 방역당국의 고민거리다. 질병청은 지난해 12월 국민 7천528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해 대상자의 70%가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검출되는 '자연감염 항체'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국내 인구 대비 누적 확진자 비율이 51.5%였음을 감안하면 우리 국민의 18.5%가 실제로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지만 검사로 확진을 받지는 않은 '숨은 감염자'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것이 '집단면역' 달성을 뜻하는 건 아니라고 강조했다. 김동현 한림대 보건과학대학원장(예방의학과)은 "감염이나 백신 접종 후 3개월이 지나면 항체의 양이 크게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간이 지나도 몸에서 항체가 검출되긴 하지만, 실제로 바이러스 침입을 막아 내는 능력은 떨어진다는 의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