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최소 5개 아트페어 진행…시장 확대·집객 효과 긍정적
목적 상실·판매 초점 부정적…시장 좇던 업계 내실 다져야
코로나19라는 긴 터널의 끝에 선 올 한해, 대구 미술계는 어느 때보다 활발한 활동들이 눈에 띄었다. 지역 작가들이 잇따라 개인전을 열며 그간 미뤄왔던 작품 발표를 하고, 새로운 갤러리들이 문을 열기도 했다. 한동안 중단됐던 전시 오픈식, 도슨트 프로그램, 미술 체험·교육 프로그램들도 재개되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페어 열풍'이다. 올 하반기부터 불어닥친 미술시장의 한파 속에서도 올해 신생 페어를 포함해 대구에서 최소 5개의 아트페어가 진행됐다. 지역 미술 시장의 확대와 지역 집객효과를 꾀할 수 있다는 긍정적 평가와 동시에 미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페어의 본래 취지를 상실한 채 판매에만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부정적 시선이 공존한다.
◆다양한 형태 페어 급증
올해 국내 미술시장 거래액은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재)예술경영지원센터에 따르면 올해 국내 미술 유통시장 규모는 1조461억원으로 추산됐다. 영역별로 ▷갤러리 5천21억원 ▷경매 2천420억원 ▷아트페어 3천20억원이다. 특히 아트페어는 지난해 1천889억원에서 59.9% 급증했는데, 다른 영역에 비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대구에서도 올해 최소 5개의 아트페어가 열렸다. 80~100곳의 갤러리가 참여하는 대규모 신생 페어 2개가 열려 그간 대구에 하나 뿐이던 페어 시장에 활기를 더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지난 6월 열린 '아트페어대구'는 '대구 아트페어 양대산맥'을 표방하며 새롭게 생긴 페어다. 첫 개최에 비교적 많은 관람객이 몰리며 성공적이라는 평을 받았다. 대구도슨트협회도 지난 8월 '대구국제블루아트페어'를 선보였다. 기존에 대규모 페어에 참가하기 쉽지 않았던 중·소규모 갤러리들이 다양한 작품을 출품하는 기회가 됐다.

대구화랑협회가 주관하는 15년 전통의 대구아트페어도 올해 디아프로 이름을 바꾸고 국제 페어로의 새로운 도약을 선언했다. 다만 하반기부터 미술시장 안정세가 뚜렷해진 영향으로 매출액은 지난해 98억원에 못미친 75억원에 그쳤다.
이 밖에 MZ세대를 겨냥해 대백프라자 의류매장에서 열린 대백아트페어, 그랜드호텔 객실에서 열린 라움아트페어, 올해 새롭게 생긴 IHAF(국제호텔아트페어) 등 다양한 형태의 페어가 대구에서 열렸다.
지역 미술계 관계자 A씨는 "페어 열풍은 대구만의 현상이 아니다. 올해 대전, 울산, 제주, 청주, 경주 등의 도시에서 아트페어, 아트쇼, 호텔아트페어와 같은 각양각색의 아트마켓가 우후죽순 열렸다"고 말했다.
◆"유통 루트 다양화" vs "필요 이상 난립"
아트페어 증가세를 두고 지역 미술계의 반응은 엇갈린다.
미술계 종사자 B씨는 "페어가 많아졌다는 것은 대구 미술시장이 그만큼 커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에, 긍정적인 현상으로 본다"며 "최근에는 페어가 다른 어떤 행사보다도 집객 요소가 높은 관광상품 중 하나로 꼽히기에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이어 "BAMA, 아트부산 등 부산지역 아트페어 성장세를 견제할 계기가 되는 동시에, 지역 미술인들에게도 새로운 유통 루트가 만들어지는 기회"라고 말했다.

반면 특정 작품들에만 관심이 집중돼 출품되는 데 따른 관람객들의 피로도 증가, 미흡한 운영 등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있다.
갤러리를 운영하는 C씨는 "페어는 단순히 미술품을 파는 데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멀리 내다보고 미술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새로운 것을 보여준다는 생각으로 운영해야 한다"며 "최근 화랑들도 전시보다 페어에 집중하는 등 주객이 전도된 듯하다. 필요 이상으로 페어가 많아지면서 시장에 끌려가는 듯한 모습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올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미술시장의 한파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내년에는 지역 미술계도 조정기를 맞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미술 연구자 D씨는 "최근 페어나 경매를 보면 확실히 미술시장이 식은 것을 알 수 있다. 내년에는 그간 트렌드와 시장을 좇던 미술계 경향이 어느 정도 안정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숨 돌리며 작가, 작품 발굴 등 내실을 다지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