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123만명, 민주노총 121만명, 독립노조 41만명

입력 2022-12-25 13:02:17 수정 2022-12-25 13:11:06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지난 12월 10일 여의도에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지난 12월 10일 여의도에서 '화물안전운임제 사수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용노동부가 2021년 기준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을 25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1년 노조 조직률은 14.2%를 기록, 2020년과 같았다.

조합원 수가 전년 대비 12만8천명 증가해 293만3천명으로 집계된 것으로, 이처럼 조합원 수가 늘어났음에도 노조 조직률이 두 해 연속 같은 것은 노조 조직 대상 근로자 수 역시 79만5천명 늘어났기 때문이다.

노조 조직률은 2010년 9.8%까지 하락, 이후 2017년까지 11%의 벽을 넘기지 못하는 10%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다 2018년 11.8%를 기록하며 급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2019년 12.5%, 2020년 14.2%, 2021년 14.2%로 문재인 정부 들어 10% 중반대까지 오른 맥락이다.

▶전체 대비 조합원 수 비중을 따지면, 한국노총을 상급단체로 둔 조합원이 42.2%(123만8천명)로 가장 많았다. 즉 한국노총이 제1노총이다. 2년 연속이다.

이어 민주노총 조합원이 41.3%(121만3천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총은 전년 대비 1.2%포인트(p), 민주노총은 같은 기간 0.9%p 노조 조직률이 증가했다.

이어 양대 노총에 가입하지 않은, 독립노조들이 전체의 16.3%(47만7천명)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14.9%(41만7천명) 대비 1.4%p 증가한 규모로, 이같은 증가폭만 보면 양대 노총에 비해 약진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