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 반도체 29.8% 감소로 큰 타격…자동차는 31% 증가
대 중국 수출 -25.5% 확 꺾여…2개월째 대중 무역수지 적자
수출이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무역수지가 8개월 연속 적자 늪에 빠졌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이후 25년 만에 가장 긴 적자 기간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11월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같은 달(603억3천만달러)보다 무려 14.0%나 급감한 519억1천만달러로 집계됐다. 대표 수출 품목인 반도체 부문에서 실적이 30%가량 감소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지난 10월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5.7% 줄어 2020년 10월(-3.9%) 이후 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데 이어 두 달 연속 수출액이 줄어들었다.
산업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주요국 통화 긴축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와 화물연대 집단운송 거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며 "지난해 11월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11월 수출 증감률을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31.0%), 석유제품(26.0%), 차부품(0.9%), 이차전지(0.5%)는 증가했다. 특히 54억달러어치를 수출한 자동차 부문은 월간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반면 반도체(-29.8%), 바이오헬스(-27.3%), 석유화학(-26.5%), 가전(-25.0%), 섬유(-20.0%), 무선통신(-18.7%), 디스플레이(-15.6%), 철강(-10.6%) 수출이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였다. 선박(-68.2%), 컴퓨터(-50.1%) 수출도 대폭 줄었다.
지역별로 보면 미국(8.0%), 중동(4.5%) 등에 대한 수출은 증가했으나 중국(-25.5%), 중남미(-19.1%), 일본(-17.8%), 동남아시아국가연합(-13.9%)은 감소했다. 무엇보다 최대 시장인 대중국 수출이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여섯 달 연속 감소세다.
11월 수입액은 전년 동월 대비 2.7% 늘어난 589억3천만달러를 기록했다.
3대 에너지원인 원유·가스·석탄의 수입액은 전년 동월(122억1천만달러) 대비 33억1천만달러 증가한 155억1천만달러로 27.1%나 급증, 무역수지 적자에 큰 영향을 끼쳤다. 1∼11월 3대 에너지원 수입은 1천741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999억달러)보다 거의 배 가까이 많다.
이로써 11월 무역수지는 70억1천만달러(9조1천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지난 4월부터 8개월 연속 적자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8개월 이상 연속 적자는 1995년 1월∼1997년 5월 연속 적자 이후 25년여 만에 처음이다. 11월 무역적자 폭은 10월(67억달러)과 비교해서도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