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한 달…이태원참사 유족협의회 만든다

입력 2022-11-29 17:01:02

희생자 유족 65명 참여 "정부 진상규명, 책임규명이 먼저"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에서 열린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희생자들의 사진을 들고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에서 열린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희생자들의 사진을 들고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족들이 집단행동에 나섰다. 유가족 공식 모임인 '유가족 협의회' 구성을 추진해 참사에 대한 정부 책임을 규명키로 했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족 65명은 현재 모바일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 유가족 협의회 구성을 논의하고 있다. 지난 22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과 기자회견을 한 뒤 따로 만난 자리에서 처음 협의체 얘기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유족은 28일 성명을 내고 "정부에 유가족의 목소리를 정확히 전달하고, 희생자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며 책임자들에게 합당한 책임을 묻고자 한다"며 "참사 이후 유가족들이 서로의 안부를 묻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조치가 없어서 유가족들은 고립된 채 슬픔과 고통을 이겨내야만 했다. 유가족들은 서로 소통할 기회를 스스로 찾아야만 했다"고 설명했다.

고 이지한씨의 부친은 29일 통화에서 "이러면 안 되겠다 싶어서, 우리가 빨리 주체가 돼서 이런저런 대응도 하고 쫓아가서 따지고 해야 하니 협의체를 구성했다"며 "국회 국정조사가 시작됐는데 유야무야 싸움만 하고, 행정안전부에서 (유가족들) 한 명 한 명에게 연락해 '협의체 구성 및 장소 제공하는 데 동의하냐'고 하는 것 자체가 유가족들을 이간질시키는 것 같다"고 했다.

희생자 유족들은 지난 22일 민변 기자회견에서 윤 대통령의 진심 어린 사과, 부실 대응 책임자 조사와 문책, 진상·책임 규명 과정에 피해자 동참, 유족 및 생존자 간 소통 기회 마련, 희생자 추모시설 마련, 참사의 정부 책임 공식 발표 등 6가지를 정부에 공식 요구했다.

이 씨의 부친은 "윤석열 대통령이 이상민 행안부 장관 어깨를 토닥여주는데 특수본에서 (이 장관을) 수사할 수 있겠느냐"며 "(이 장관은) 파면돼야 하고 일반 사람의 자격으로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