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확고한 친원전정책…신규원전 건설과 원전수출에 힘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

매일신문과 국민의힘(양금희 국회의원·수석대변인)이 공동으로 마련한 '2022 대한민국 원자력 국민대전'에 참석한 시민들은 원자력계의 미래와 과제를 고민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해외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을 투영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책임있는 에너지 정책을 물려주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다지자는 의견에 대해 참석자들의 공감이 컸다.
또 경주를 중심으로 커가는 원자력 산업에 대한 기대와 정부의 확고한 친원정책 의지를 확인하는 다양한 발언도 나왔다.
권성동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이번 포럼이 갖는 의미는 대단하다.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이자 중요한 에너지 안보로 꼽히는 원자력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라는 목소리가 다양하게 담겼다"며 "정부도 다양한 정책지원 통해 원전이 우리나라 산업의 큰 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박일준 산업부 제2차관은 "독일과 일본도 원전에 눈을 돌리는 등 원전산업성장은 세계적인 추세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공식 폐기한 만큼 신규원전 건설과 수출 등 원전생태계 복원에 주력하겠다"고 했다.
김병기 한국원자력국민연대 이사장은 "정권이 바뀐 만큼 탈원전정책에 의해 무너져버린 원전생태계 현장을 하루빨리 정상화시켜야 한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국민들의 신뢰, 세계적인 기술력 등이 더해진다면 원전복원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노동석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연구원은 '에너지위기 대응과 온실 가스저감을 위한 원자력의 역할'이라는 주제를 통해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간 전쟁을 되돌아보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방점을 뒀다.
노 연구원은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연료에너지의 가격이 세계적으로 불안정해면서 각국이 원전에 눈을 돌리고 있다"며 "탈원전으로 잃어버린 기술과 시간을 만회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통해 원전사업을 성장시켜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어 "우리나라 사정상 원자력을 배제한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가능성은 희박한 만큼 에너지 믹스 정책에 대한 전면적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승윤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원전정책에 대한 국민투표를 제안하며 원자력 등 미래 세대를 위한 정책은 국민투표를 통해 공감대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