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0시 전국 신규 확진 4만7천28명으로, 전주보다 1천30명↑
같은 날 대구는 2천367명으로, 전주보다 33.7% 증가
대구의 전담치료 병상 가동률도 이날 39.1%…일주일 전보다 7.6%p↑
감염 예방 효과 점점 감소
주춤하던 코로나19 확산세가 추위와 함께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지역에서 신규 확진자가 가파르게 늘면서 병상 가동률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 사망자 중 과거 백신 접종자 비율이 높아 추가 접종의 필요성이 커지지만, 여전히 접종률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전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만7천28명으로 집계됐다. 1주일 전인 지난 20일(4만5천998명)보다 1천30명(2.2%)이 늘었다. 이날 대구의 확진자는 2천367명으로, 1주일 전(1천771명)보다 33.7% 증가했다. 지난 13일(2천330명)과 20일 사이 24%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지역에서 확진자가 급격하게 늘면서 이날 대구의 재택치료자도 1만5천22명을 기록했다. 지난 9월 19일(1만5천345명) 이후 69일 만에 1만5천 명대를 기록했다. 덩달아 대구의 전담치료 병상 가동률도 이날 39.1%(병상 197개 중 77개)로, 1주일 전 31.5%(197개 중 62개)보다 7.6%포인트 높아졌다.
입원환자가 늘어난 가운데 지난주(21~27일 발표일 기준) 코로나19 누적 사망자는 19명으로, 전주(17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특히 지난주 사망자 가운데 1~4차 백신 접종자가 14명(73.7%)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과거 예방접종의 효과가 낮아졌다는 우려가 현실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추가접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대구의 동절기 백신 접종률은 27일 0시 기준 3.4%(전국 4.9%)에 그치고 있다.
방역 당국은 "고령층을 중심으로 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만큼 빈틈 없는 의료대응이 필요하다"며 "우수한 병원에 중증 병상을 추가 지정하는 등 하루 확진자 20만 명에 대응할 수 있는 병상을 확보하겠다"고 했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BA.5 유행 시기의 중증화율이 델타 변이의 21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델타 변이 우세 시기(2021년 7월 25일~2022년 1월 15일)에 2.14%였던 중증화율이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2022년 7월 24일~9월 3일)에 0.10%로 감소했다는 것이다.
이는 바이러스 자체의 특성 변화도 있지만, 백신 접종과 치료제 투여, 감염 후 재감염 등으로 인한 감염자의 면역 상태 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중증화율 등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중 고령층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역학조사분석단은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