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尹에 “한반도 비핵화에 건설적 역할 하겠다”

입력 2022-11-12 17:57:02 수정 2022-11-12 18:03:16

원친론적 기존 입장 재확인으로 풀이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오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오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의 모두발언을 듣고 있다. 왼쪽부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 대통령, 리커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

리커창 중국 총리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2일 오후 캄보디아 프놈펜의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한중일' 정상회의 전 정상 대기실에서 윤 대통령과 리 총리가 환담을 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상호존중, 호혜원칙에 입각한 한중관계 발전에 관해 기대감을 표출했고 북한의 핵문제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북한의 전례없는 도발에 우려를 표명했고, 리 총리는 한반도의 비핵화 필요성 및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에 대해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리 총리의 이같은 언급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기존의 원칙론적 입장을 재확인한 정도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 관계자는 또, 윤 대통령이 전날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선언한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과 관련해서는 "아직 중국 측으로부터 구체적 코멘트가 나온 상태는 아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과 리 총리는 이날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에 나란히 참석했다. 리커창 총리는 시진핑 중국 주석 대신 이 자리에 참석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연이은 도발과 핵·미사일 능력 증강 시도는 국제사회에 대한 직접적이고 심각한 위협"이라며 "북한이 또다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고 7차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국제사회는 한 목소리로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의 문을 열려있다"며 "북한이 비핵화 결단을 내리고 우리가 제안한 '담대한 구상'에 응한다면 한국 정부는 과감한 대북 경제 지원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