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차기 당권경쟁 본격화…친윤-비윤 신경전 가열 조짐도

입력 2022-10-23 17:19:35 수정 2022-10-23 21:27:57

당권주자 현장 행보 늘릴 전망…전당대회 규칙·시기 셈법 빨라져

국민의힘 이준석 새 대표와 최고위원 등이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함께 손을 잡고 기뻐하고 있다. 오른쪽 세번째 부터 김재원 최고위원, 김기현 원내대표, 이준석 대표, 조수진, 배현진 최고위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새 대표와 최고위원 등이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함께 손을 잡고 기뻐하고 있다. 오른쪽 세번째 부터 김재원 최고위원, 김기현 원내대표, 이준석 대표, 조수진, 배현진 최고위원. 연합뉴스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진행된 국정감사가 마무리 수순에 돌입함에 따라 집권당의 차기 당권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당권 주자 사이의 견제가 노골화하고 있고 전당대회 규칙을 둘러싼 계파 간 신경전도 가열되는 분위기다.

정치권에선 그동안 이른바 '공중전'에 집중해 온 당권주자들이 이제부터는 직접 당원들을 만나는 '현장 행보'를 늘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침체를 이어가고 있는 경제상황과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환경이 심상치 않기 때문에 후보 사이의 과열경쟁은 여권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올해 국정감사는 이번 주 상임위원회별 종합감사를 끝으로 마무리된다. 그동안 국민의힘 당권주자들은 '국회의원 본연의 역할보다는 '잿밥'(당권)에만 관심이 있느냐!'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국정감사 일정을 소화하면서 본격적인 득표활동은 미뤄왔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본격적인 진검승부가 시작될 전망이다.

당 관계자는 "그동안에 각 주자들이 SNS 메시지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이슈파이팅을 하는 모습으로 존재감을 강조했다면 이제부터는 각 지역 당원협의회 순회 간담회와 토론회 등을 통해 당원들을 직접 설득하는 자리를 많이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당장 눈앞의 변수는 전당대회 규칙이다. 지금은 '당원 투표 70% + 여론조사 30%'를 반영하고 있지만 이른바 '친윤계'(친윤석열)를 중심으로 역선택 방지를 명분으로 '당원투표 100%' 주장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게임의 규칙'에 대한 손질은 결과에 대한 불복으로 이어질 수 있기 조심스러운 사안이다.

이와 함께 전당대회 시기도 승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당내 비주류인 이른바 '비윤계'에선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바닥 수준일 때 서둘러 전당대회를 치러야 '바람몰이'가 가능하다는 계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친윤계 내부에선 전당대회 시기와 관련해 백가쟁명식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당대회 시점에 따라 후보군의 숫자가 달라질 수 있고 이른바 현직 대통령의 입김 차이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당내에선 전당대회 준비와 관련해 실무차원에서 지도부에 정식으로 보고조차 하지 않을 정도로 신중을 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집권 초반 확실하고 정국주도권을 잡지 못 한 대통령실이 아직까지 여당 전당대회와 관련 확실한 입장을 정하지 않은 상황이라 당에서도 기다리기만 할 뿐"이라며 "현직 대통령의 의중인 이른바 '윤심'이 판을 좌우할 공산이 크기 때문에 일단을 좀 더 지켜보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