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무 낙탄 직후 발생
군 "대응 사격…표적 명중 여부 초점 맞춘 것 아냐"
군이 최근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발사에 대응해 쏜 에이태큼스(ATACMS) 전술지대지미사일 2발 중 1발이 비행 도중 추적 신호가 끊긴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13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지난 5일 0시 50분쯤 강릉에서 시행한 한미 연합 지대지미사일 사격에서 한미는 에이태큼스를 각 2발씩 총 4발 쐈는데 이때 한국이 발사한 2발 중 1발이 동해상 가상의 표적을 향해서 비행하다가 소실됐다.
이에 따라 군은 이 미사일이 가상 표적에 명중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나머지 1발과 주한미군의 에이태큼스 2발은 표적에 명중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군은 발사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에이태큼스를 동해상으로 발사해 가상표적을 정밀타격하고, 추가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연합전력의 대응능력을 현시했다"고 밝혔다.
군은 미사일 신호가 끊기기 전까지 정해진 궤도로 비행하고 있었고, 이 사격이 시험발사가 아닌 대응 사격의 성격이었던 만큼 표적 명중 여부에 초점을 맞춘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현무-2C 탄도미사일 낙탄 사고에 이어 에이태큼스 추적 신호 단절까지 이어지면서 우리 전력에 대한 우려와 함께 군의 늑장 공개로 인한 비판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4일 오후 11시쯤 현무-2C 탄도미사일이 비정상 비행 후 낙탄하는 사고가 있었다. 강릉 모 비행단에서 발사한 미사일은 예정된 동해 방향이 아닌 후방으로 비행해 비행단 내로 추락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