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안위 소속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 "주거밀집·학교 등 소방차 가로막는 요인 없어야"
"목조주택 밀집구역 소방차 진입 어려워"
지난해 경북에서 발생한 화재 건수가 2천800여 건으로 전국 4위를 기록했다. 주거지역 화재가 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목조주택이 밀집한 지역일수록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구간이 집중돼 피해 우려를 키웠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5일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 전국 화재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화재 건수는 3만6천267건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화재 건수는 경북이 2천849건으로 경기(8천169건)와 서울(4천951건), 경남(2천864건)에 이어 전국 4위에 달했다. 대구는 1천189건으로 전국 12위였다.
화재 장소별로 보면 국내 화재의 1만 건 이상(28%)이 '주거공간'에서 발생했다.
경북에서는 '주거공간'(689건, 24.2%)이 가장 많고 이어 '산업시설'(480건, 16.8%), '자동차·철도차량'(411건, 14.4%), '임야'(126건, 4.4%) 등 순이었다.
대구 역시 '주거공간'(290건, 24.4%) 비중이 컸다. 이어 '생활서비스'(206건, 17.3%), '산업시설'(189건, 15.8%), '자동차·철도차량'(159건, 13.4%), '판매·업무시설'(66건, 5.6%) 등 순이었다.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하거나 진입이 곤란한 구역은 전국 883곳, 그 거리는 445㎞로 나타났다. 사유로는 '도로 협소'(573곳)과 '상습 주정차 지역'(181곳) 등 순으로 많았다.
소방차 진입 곤란·불가 구역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345곳(16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위 부산(119곳, 42㎞), 3위 인천(95곳, 6㎞), 4위 경기(86곳, 34㎞), 5위 대구(70곳, 80㎞) 등 순이었다. 경북(19곳, 14㎞)은 전국 8위로 나타났다.
주거용도 지역 내 소방차 진입 곤란·불가 구역은 대구가 45곳(46㎞), 경북이 9곳(3㎞)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구역이 목조밀집 지역(대구 23곳, 경북 5곳)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 화재 시 피해를 키울 것으로 우려됐다.
조 의원은 "소방차의 신속한 현장 진입은 화재 골든타임 확보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다. 주거밀집 지역이나 학교 등에 출동 장애 요인이 없는지 살피고 소방도로 확보 등에 예산 편성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