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광주서 비상경제민생회의 열고 '뉴욕구상' 구체화
윤석열 대통령은 28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8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반도체, 양자 컴퓨팅, 메타버스와 같은 다양한 전략 분야에 집중 투자해 초일류 초격차 기술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뉴욕에서 발표한 디지털 구상, 또 오늘 발표하는 디지털 전략을 토대로 우리나라를 디지털 강국으로 도약시킬 체계적인 준비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주 미국 방문 때 논의한 디지털과 인공지능 정책 방향과 관련해 범정부 차원의 후속 조치를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디지털 비전 포럼에 참석, 보편적 가치를 지키기 위한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주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력을 세계 3위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데이터 시장 규모를 (지금보다) 2배(50조 원) 이상 키우겠다"며 "무엇보다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정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인간의 자유를 확대하는데 기여해야 한다'며 디지털 기술의 역할을 부각시키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지금 준비 중인 디지털 플랫폼 정부는 행정 서비스의 획기적 개선과 함께 우리 사회의 안전망을 보다 더 촘촘하게 이어줄 것"이라며 "돌봄 로봇과 인공지능 전화 서비스로 혼자 계신 어르신들의 일상을 더욱 세심하게 챙길 것"이라고 했다.
클라우드 기반 병원 정보 시스템과 인공지능 의료기술을 활용해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전국 상권을 빅데이터로 정밀 분석해 소상공인들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도 분명히 했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은 그 자체가 기술인 동시에 사회에 엄청난 변화와 혁신을 주는 하나의 혁명이고,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이 있다"며 "광주는 일찌감치 인공지능 대표도시로서 도약할 준비를 마친 곳이다. 명실상부한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거듭나도록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 ▷세계 최고의 디지털 역량 ▷기존 산업 경쟁력 제고 ▷국민 모두 혜택 누리는 디지털 포용 사회 구현 ▷디지털플랫폼정부로 행정 서비스 혁신 ▷민간 주도의 디지털 혁신 문화 조성 등 대한민국 디지털 5대 추진 전략이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