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4대 전략 발표, 시장 점유율 12%까지 높이기로
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 양성, 전기·수소차 성능 향상 지원
정부가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생산 규모를 330만대로 늘리는 등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3강'으로 도약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 전략 원탁회의' 때 이런 내용을 담은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전동화 글로벌 톱티어(top-tier·선두권) 도약'을 비롯해 ▷생태계 전반 유연한 전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등 글로벌 3강에 들기 위한 4대 전략을 제시했다.
작년 국내 자동차 업계의 세계 전기차 생산 대수는 25만4천대,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5%. 전기차 선두권으로 도약하기 위해 2030년까지 생산 대수를 330만대로 늘리고 시장 점유율도 12%로 높인다.
이를 위해 전동화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소프트웨어·반도체 분야 역량을 강화한다. 2026년까지 운영체제(OS)와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할 계획이다. 또 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을 양성하고 2030년까지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300개도 육성할 방침이다. 차량용 반도체 중 프로세서 등 핵심 품목도 집중 개발한다.
전기차는 현재 500㎞ 수준인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까지 600㎞로 확대한다. 수소차는 현재 ㎏당 13㎞ 수준인 연비를 2030년까지 17㎞까지 개선한다.
산업부는 또 세제 지원 등을 통해 완성차 업계가 2026년까지 5년 간 계획한 '95조원+α' 규모의 투자도 밀착 지원한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요건에 맞는 배터리를 조기에 확보, 미국 현지 자동차 생산도 앞당긴다.
대형모터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의 기술 자립화를 지원하는 등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을 현재 70%에서 2025년 90% 이상으로 높인다.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 함께 교통약자 이동지원·순찰 등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의 서비스 콘텐츠를 개발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혁신 로드맵 2.0'을 수립, 시장 진입 제한 규제를 개선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민·관이 나아가야 할 자동차 산업 전략에 대해 큰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다"며 "업계와 소통하면서 분야별 세부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