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 방치한 건 아닌지 부모세대로서 부끄러웠다"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충남 아산시 충남자립지원전담기관에서 가진 자립준비청년 및 전담기관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경제 여건이 어려워 긴축 재정을 한다 해도 쓸 돈은 써가면서 우리 청년들의 미래 준비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대통령이 직접 자립준비청년들을 만나 정부의 자립지원 정책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청년들을 챙기겠다는 약자 복지, 민생 현장 행보의 하나로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어렵고 힘들지만 결집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분들을 살피는 '약자 복지'가 윤석열 정부의 복지 기조"라며 "표를 얻는 복지가 아니라 표와 관계없이 자기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약자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부여하는 복지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연말 대선 과정에서 만난 자립준비청년의 사례를 언급하며 "사실 우리 자립준비청년들의 문제점을 잘 몰랐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국가가 (자립준비청년)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고 너무 내팽개쳤더라"며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이 문제를 방치한 것은 아닌지 부모세대로서 부끄러웠다"고 털어놨다.
이어 "내가 취임하면 하루아침에 당장 바꿀 수 없지만 자립준비청년을 잘 살펴야 하겠다는 생각을 했다"며 "자립준비청년들에 대한 지원은 단순히 재정적으로 돕는 차원을 넘어 우리 미래를 위한 의무이자 배려다. 전보다 더욱 과감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 자립준비청년은 "'자립은 치열한 정보 싸움'이라는 말이 있다. 집을 구하고, 일자리를 찾는 등 자립 준비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됐으면 좋겠다"고 건의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여기 오기까지 많이 애쓰고 고생했다. 지금까지 보여준 용기와 투지를 정부가 더 살려드릴 수 있도록 우리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격려하면서 "국가가 좀 더 기회를 준다면 이들 모두 우리 사회의 소중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 자립준비청년들에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는 게 국가의 역할이자 책임"이라고 말했다.
※자립지원전담기관: 아동복지시설 및 가정위탁 보호아동 중 보호 종료 후 5년 이내의 자립준비청년 등에게 1대 1 관리 및 자립지원 통합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