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통일부 장관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도 한미연합훈련은 유지"

입력 2022-08-17 16:43:32 수정 2022-08-17 21:01:40

안보 주도권 쥐고 가겠다는 의중이라는 분석 나와

권영세 통일부 장관과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지난 9일 오전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과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지난 9일 오전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비핵화 조치에 나서더라도 한미동맹을 통한 군사적 억지력은 유지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석렬 대통령의 '담대한 구상'(북한의 비핵화 조치 시 경제지원 약속)에도 안보분야 만큼은 주도권을 쥐고 가겠다는 의중으로 풀이된다. 특히 '담대한 구상'에 한미연합훈련 중단은 포함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정치권에선 통일 정책 주무 장관이 강경발언을 쏟아냄에 따라 당분간 남북관계 개선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17일 KBS 라디오에 출연한 권 장관은 '북한이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요구한다면 이 문제로 미국과 대화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아무리 담대한 구상이라도 우리가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이 몇 가지 있는데 그중에 한미연합훈련이 있다"고 답했다.

이어 권 장관은 "한미연합훈련은 순수한 방위훈련이며 북한도 군사훈련은 할 것"이라며 "신뢰 구축이 돼 있더라도 군대를 유지하는 한 훈련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권 장관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던 '종전선언'에 대해 "현재 정전체제인데 완전히 평화협정으로 넘어가는 것은 모를까 종전체제로 가는 건 그렇게 필요한 부분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고, 문재인 전 대통령을 대북특사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현 단계에서 특사를 보낼지, 그 특사를 누구로 보낼지 생각하는 건 아직 조금 이른 상황"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와 함께 권 장관은 '담대한 구상'을 관철하는 과정과 관련해 '한미관계가 엄청나게 변했고 든든해져 우리가 북한과 중국에 대해 과감한 조치를 자신 있게 제시할 수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정치권에선 전례를 찾기 힘든 통일 정책 주무장관의 강경발언에 당분간 남북관계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권 장관이 과거 민주당 정부 시절 국방부 장관이 할 법한 발언을 내놓은 것"이라며 "통일부 장관까지 힘에 의한 한반도 평화를 강조하고 나선 만큼 전 정부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대북정책이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