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주최 지방소멸 대응 '이웃사촌마을 확산 사업' 공모 선정
역사문화 숨쉬는 영해 중심 ‘환(環)영해·환영(歡迎)해’ 프로젝트
5개분야 27개 세부 사업…기존 지역 활성화 사업 연계 추진
경북 영덕군이 민선 8기 출범 한달 만에 1천400억원 규모 지역 활성화 대박 프로젝트를 내놓고 본격 추진을 알렸다.
영덕군은 경상북도가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주최한 '이웃사촌마을 확산 사업' 공모에 영덕군 영해면을 대상으로 한 '환영해 프로젝트'를 제안해 최종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환영해의 두가지 뜻
'환영해 프로젝트'는 영해(寧海)의 지명을 따 사람들이 돌아온다는 '환(環)영해'와 이들을 반긴다는 '환영(歡迎)해'의 중의적인 의미를 부여한 소멸위기 공동체 살리기 프로그램이다.
경북도의 이웃사촌마을 확산 공모사업은 일자리 창출, 주거 조성, 생활 여건 개선, 공동체 활성화, 청년 유입 등 5대 활력 요소를 중심으로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목적으로 시행된다.
이에 영덕군은 영해면에 '환영해 프로젝트'라는 비전으로 관광지 활성화를 통한 지방소멸대응 기본안을 제시하고 2026년까지 국·도비와 군비 등 900억원에다 민자사업을 연계해 향후 1천400여억원으로 사업규모를 확장할 계획이다.
영덕군이 영해면을 사업 대상지로 택한 이유는 영해가 지니는 자연환경과 역사성에 주목하고 이를 문화관광자원으로 삼아 영해의 부활을 통해 영덕 북부권의 신활력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영해를 비롯한 영덕 북부지역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치며 예주목과 영해부로 사회적 경제적 중심지였다. 또 구한말 일본 제국주의 침략에 항거한 신돌석 장군의 의병운동, 일제시대 3·18만세운동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영해군는 일제에 의해 영덕현을 속현으로 거느리고 있다 되레 영덕군의 속현으로 격하되는 아픔을 거쳤다. 현재 영해 인구는 6천명 붕괴 위기에 있고 2030세대 비중이 13%대에 그치는 등 노령화도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자리·인구·청년 핵심 키워드
영덕군은 이번 '환영해 프로젝트'를 통해 ▷일자리 ▷주거 ▷생활여건개선 ▷공동체활성화 ▷청년유입 등 5대 분야에 총 27개 세부사업을 추진해 창업과 인구 그리고 관광 활성화를 노린다.
일자리 분야에선 관광서비스·장터·디미방 창업과 디미방 가공인프라 구축·물치유 호텔 유치 사업을 진행하고 주거 분야에는 청년창업 주택타운·환영해 게스트하우스 등을 조성한다.
생활여건 분야는 기존 생활여건 사업과 연계해 주민들의 음식편의 개선, 여가 편의 개선을 통해 소득과 정주여건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킨다는 구상이다.
공동체 활성화 분야는 창업페스티벌과 함께 '환영해 관광전문조직', '환영해 이웃사촌 지원조직'을 운영하고 청년유입 사업으로 '로컬 역사문화전문가' 육성, '해산수(海山水) 살아보기' 프로그램 등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환영해 프로젝트를 기존 활성화 사업들과 연계해 영덕을 다시 젊고 활력 넘치는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게 만드는 하나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번 사업과 우리 군의 수많은 관광자원을 연계해 지역소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