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대만의 TSMC에 비해 세금과 임금, 인력수급 면에서 불리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TSMC는 매출액 175억2천900만달러로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점유율 1위(53.6%)를 차지했다. 이는 시장점유율 16.3%로 2위인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매출액 53억 2800만달러의 3배가 넘는 수치다.
인력규모도 TSMC 임직원수가 6만5152명인 반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문 임직원수 6만3902명 중 파운드리 사업부 소속은 약 2만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연은 삼성전자는 회사 규모 뿐 아니라, 조세, 투자 인센티브, 인건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TSMC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한국의 법인세 최고세율이 25%로 대만 20%에 비해 5%포인트나 높다는 것이다. 최근 윤석열 정부가 법인세율을 22%로 인하하겠다는 내용의 세제개편안을 발표했지만 법인세 격차만 5%p에서 2%p로 줄어들 뿐 여전히 삼성전자가 불리한 상황이다.
또한 2021년 기준 삼성전자의 평균임금은 약 1억4천400만원으로 TSMC(약 9천500만원)에 비해 4천900만원 높았다. 한경연은 국내 반도체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최소한 해외 선진업체 수준의 인프라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법인세 감면,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 인력양성 등에 대한 지원 확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